제주·대구, 1분기 소매판매·서비스업 생산 '급락'
입력
수정

7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시·도서비스업생산 및 소매 판매 동향’을 보면 지난 1분기 서비스업 생산은 서울(2.3%)과 경기(0.0%)를 제외하고 모두 줄었다. 코로나19로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 운수·창고업 소비 및 생산이 급감한 영향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도권도 운수·창고업 등 업종에서 생산이 크게 줄었다”며 “하지만 1분기 금융·보험업과 부동산업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이를 상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서비스업 생산 감소폭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제주(-10.3%) 대구(-4.4%)에서 가장 컸다. 제주는 정보통신(-28.0%) 숙박·음식점(-23.8%) 도소매(-7.1%) 등 대부분 업종에서 생산이 줄었다.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이 줄어들고 인력 및 물자 이동이 제한됐기 때문이다.
소매판매는 전남(3.9%)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과 마찬가지로 제주(-14.8%)와 대구(-9.9%) 감소폭이 가장 컸다. 통계청 관계자는 “백화점과 면세점 매출이 소매판매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데, 전남은 편의점 등 소매상 비중이 높아 코로나19의 타격을 덜 받았다”며 “지난해 1분기 전남 소매판매가 감소했던 기저효과의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