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여당' 맞설 주호영號, 지도체제 결정·원내협상 과제 산적(종합)
입력
수정
주호영 "패배의식 씻어내는 게 급선무"…미래한국·국민의당 '통합' 논의도
'김종인 비대위' 추진하며 임기문제 설득 나설듯…"가까운 시일내 만나겠다"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 참패 이후 약 3주 만에 당 정비를 위한 기본 진용을 갖췄다. 통합당은 8일 국회에서 열린 21대 국회의원 당선인 총회에서 5선이 되는 주호영 원내대표와 3선에 오른 이종배 정책위의장을 선출했다.
당 수습을 위한 새 지도체제 구성의 첫발을 디딘 셈이다.
신임 원내지도부는 향후 지도체제를 둘러싼 논란을 정리해 당을 다시 세우는 방안을 찾는 동시에 '슈퍼 여당'에 맞서 원내 협상을 해야 하는 난제를 짊어지게 됐다. 이들의 첫 당면과제는 총선 참패 이후 지도부 공백 사태까지 이어지면서 흐트러진 당의 대오를 정비하는 것이 될 전망이다.
특히 선거 직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여부를 놓고 한바탕 홍역을 치른 만큼 신속하게 총의를 모아 추가 혼선 없이 당의 진로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주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합동토론회에서 "(원내대표) 선거 과정에서 파악한 여론은 기간을 조금 주고 비대위로 가자는 의견이 많았다"며 당선인 총회에서 의사결정을 한 뒤 김 내정자와 양자 협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김종인 비대위'로 방향을 정하고 당선인들을 설득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다만 당내 구심점 역할을 할 당권 주자나 계파가 부재한 상황에서 비대위로의 전환 여부, 비대위 임기 등을 놓고 여전히 백가쟁명식 논쟁이 이어지고 있어 뜻을 하나로 모으는 과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김종인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4개월짜리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의사를 확실히 밝힌 상황이어서 임기 문제 정리를 위한 당헌 개정과 김 내정자에 대한 설득을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이 과정에서 주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 선출 후 기자회견에서 "지도체제가 오래 미정인 상태로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김 내정자와) 아직 계획은 없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만나도록 하겠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의 의중과 달리 당의 총의가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조기 전당대회로 모일 경우에도 '때 이른' 권력 다툼 속에서 당을 추슬러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떠안게 된다.
지도부 공백으로 총선 이후 3주가 지나도록 이뤄지지 못한 패인 분석도 이른 시일 내에 완결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이번 총선까지 최근 치러진 4번의 선거에서 연거푸 패한 원인을 찾고, 이후에는 당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쇄신이 필요하다는 당내외 요구는 이미 거세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패배 의식을 씻어내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패한 조직은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조직, 정책, 인물 발굴, 선거 준비, 홍보, 당원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기본부터 차례대로 하면 기회가 올 것"이라며 '기초부터' 다지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이외에도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면서 '범보수' 세력인 국민의당과의 정책연대 또는 통합 논의의 물꼬를 트는 것도 새 원내대표의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 원내대표는 미래한국당과의 통합에 대해 "가급적 빠르면 좋겠다"고 했고, 국민의당과의 통합 가능성에 대해선 "동지를 많이 만드는 정치 집단이 성공하기 때문에 대선을 앞두고 많은 정치세력이 통합하고 합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177석의 더불어민주당과 벌여야 하는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도 주 원내대표가 넘어야 할 관문이다.
상임위원장 수는 의석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별다른 협상이 필요 없지만, 법제사법위원장이나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 반드시 사수해야 하는 핵심 상임위를 얼마만큼 지켜내느냐가 핵심이다.
민주당에서는 이미 통상 야당이 위원장을 맡는 법사위의 권한을 줄이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이를 저지하기 위한 치열한 수 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에 따라 당장 오는 7월로 다가온 공수처 설치와 공수처장 임명을 놓고도 여당과 맞서야 한다.
절대적인 수적 열세 상황에서 야당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주 원내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원내대변인, 원내수석부대표, 정책위의장, 바른정당 원내대표 등 상대 당과의 협상에 많은 경험이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주 원내대표는 여당과의 관계설정에 대해 "현실적인 의석수를 인정하고 국정에 협조할 것은 과감하게 하겠다"면서도 "소수의 목소리, 다른 목소리를 경청하지 않으면 국가 경영에 커다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 점을 여당이 명심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연합뉴스
'김종인 비대위' 추진하며 임기문제 설득 나설듯…"가까운 시일내 만나겠다"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 참패 이후 약 3주 만에 당 정비를 위한 기본 진용을 갖췄다. 통합당은 8일 국회에서 열린 21대 국회의원 당선인 총회에서 5선이 되는 주호영 원내대표와 3선에 오른 이종배 정책위의장을 선출했다.
당 수습을 위한 새 지도체제 구성의 첫발을 디딘 셈이다.
신임 원내지도부는 향후 지도체제를 둘러싼 논란을 정리해 당을 다시 세우는 방안을 찾는 동시에 '슈퍼 여당'에 맞서 원내 협상을 해야 하는 난제를 짊어지게 됐다. 이들의 첫 당면과제는 총선 참패 이후 지도부 공백 사태까지 이어지면서 흐트러진 당의 대오를 정비하는 것이 될 전망이다.
특히 선거 직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여부를 놓고 한바탕 홍역을 치른 만큼 신속하게 총의를 모아 추가 혼선 없이 당의 진로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주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합동토론회에서 "(원내대표) 선거 과정에서 파악한 여론은 기간을 조금 주고 비대위로 가자는 의견이 많았다"며 당선인 총회에서 의사결정을 한 뒤 김 내정자와 양자 협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김종인 비대위'로 방향을 정하고 당선인들을 설득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다만 당내 구심점 역할을 할 당권 주자나 계파가 부재한 상황에서 비대위로의 전환 여부, 비대위 임기 등을 놓고 여전히 백가쟁명식 논쟁이 이어지고 있어 뜻을 하나로 모으는 과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김종인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4개월짜리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의사를 확실히 밝힌 상황이어서 임기 문제 정리를 위한 당헌 개정과 김 내정자에 대한 설득을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이 과정에서 주 원내대표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 선출 후 기자회견에서 "지도체제가 오래 미정인 상태로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김 내정자와) 아직 계획은 없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만나도록 하겠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의 의중과 달리 당의 총의가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조기 전당대회로 모일 경우에도 '때 이른' 권력 다툼 속에서 당을 추슬러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떠안게 된다.
지도부 공백으로 총선 이후 3주가 지나도록 이뤄지지 못한 패인 분석도 이른 시일 내에 완결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이번 총선까지 최근 치러진 4번의 선거에서 연거푸 패한 원인을 찾고, 이후에는 당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쇄신이 필요하다는 당내외 요구는 이미 거세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패배 의식을 씻어내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패한 조직은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조직, 정책, 인물 발굴, 선거 준비, 홍보, 당원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기본부터 차례대로 하면 기회가 올 것"이라며 '기초부터' 다지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이외에도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면서 '범보수' 세력인 국민의당과의 정책연대 또는 통합 논의의 물꼬를 트는 것도 새 원내대표의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 원내대표는 미래한국당과의 통합에 대해 "가급적 빠르면 좋겠다"고 했고, 국민의당과의 통합 가능성에 대해선 "동지를 많이 만드는 정치 집단이 성공하기 때문에 대선을 앞두고 많은 정치세력이 통합하고 합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177석의 더불어민주당과 벌여야 하는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도 주 원내대표가 넘어야 할 관문이다.
상임위원장 수는 의석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별다른 협상이 필요 없지만, 법제사법위원장이나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 반드시 사수해야 하는 핵심 상임위를 얼마만큼 지켜내느냐가 핵심이다.
민주당에서는 이미 통상 야당이 위원장을 맡는 법사위의 권한을 줄이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이를 저지하기 위한 치열한 수 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에 따라 당장 오는 7월로 다가온 공수처 설치와 공수처장 임명을 놓고도 여당과 맞서야 한다.
절대적인 수적 열세 상황에서 야당의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주 원내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원내대변인, 원내수석부대표, 정책위의장, 바른정당 원내대표 등 상대 당과의 협상에 많은 경험이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주 원내대표는 여당과의 관계설정에 대해 "현실적인 의석수를 인정하고 국정에 협조할 것은 과감하게 하겠다"면서도 "소수의 목소리, 다른 목소리를 경청하지 않으면 국가 경영에 커다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 점을 여당이 명심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