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비대위 구성해 인도사고 수습 총력…신학철 방문 가능성
입력
수정
경찰 입건·재판·여론 현지 상황 악화…피해 지원 등 대책 발표
코로나로 출입국·이동 제한 있지만 지원 인력 급파 적극 검토 LG화학이 인도공장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사고 수습에 전사 차원의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출입국·이동이 자유롭지 않지만 사안이 워낙 엄중한 만큼 신학철 부회장 등 임직원이 직접 인도 현지에 가는 방안까지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업계와 LG화학 등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7일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 가스누출 사고 후부터 CEO인 신 부회장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가동 중이다.
본사와 현지법인이 수시로 사고 현황과 대책 수립 등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LG그룹도 LG화학과 유기적으로 공조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유가족과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겠다 약속했다.
LG폴리머스는 "최우선으로 유가족과 피해자분들을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이 보장되도록 하겠다"며 "전담조직을 꾸려 사망자 장례지원, 피해자 의료·생활 지원을 진행할 수 있고,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원뿐 아니라 향후 지역사회를 위한 중장기 지원사업도 개발·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 스티렌 가스 누출 사고로 인근 주민 12명이 사망하고, 주민 수천여명이 건강 이상 증상으로 치료를 받았다.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대부분 안정을 되찾으며 인명 피해는 점차 누그러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LG폴리머스 경영진이 독성물질 관리 소홀, 과실치사 등 혐의로 입건됐고, 인도환경재판소로부터 5억루피(약 81억원) 공탁을 명령받았다. 환경재판소는 산업프로젝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업체들의 환경규정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일종의 특별법원으로, 사안의 중대성을 자체 판단하고 직권으로 재판에 나설 수 있다.
또한 인도 환경부가 잠정 조사 결과 "LG폴리머스가 설비 확장 승인이 떨어지기 전에 공장을 가동해 규정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피해 주민과 환경 단체들의 소송 제기 가능성도 커서 LG화학은 피해 주민 지원 외에 사고 원인과 과실 여부 등을 두고 장기간 민·형사 재판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전신은 LG화학이 1996년 인수한 인도 최대 폴리스티렌(PS) 수지 제조업체 '힌두스탄 폴리머'다.
1997년 사명을 바꾼 LG폴리머스는 공장 규모 66만㎡, 근무 직원은 300여명이다.
직원은 대부분 현지 인력이고 한국인 직원은 정선기 법인장 등 5명이다. 코로나19로 인도는 3월 말부터 전국 봉쇄 조치가 내려진 상태라 인력 지원이 어려워 초기에는 정 법인장을 중심으로 국내 본사와 유기적으로 연락하며 대응해왔으나, 현지 여론 추이 등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추가 인력 파견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신 부회장이 직접 인도로 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회사가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책임을 다하겠다는 대내외 메시지를 강조하는 차원에서다.
공교롭게도 LG화학은 사고 소식이 전해지기 직전인 7일 오전 14년 만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과학을 인류의 삶에 연결한다"는 회사 새 비전을 선포했다.
당장 이번 사고 수습이 새 비전 선포를 통해 한 단계 도약하려는 LG화학이 마주한 선결 과제인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신 부회장 등 임직원의 인도 입국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관계자는 "사고 원인 규명과 피해자 지원 등 책임있는 수습을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열어놓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코로나로 출입국·이동 제한 있지만 지원 인력 급파 적극 검토 LG화학이 인도공장 가스누출 사고와 관련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사고 수습에 전사 차원의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출입국·이동이 자유롭지 않지만 사안이 워낙 엄중한 만큼 신학철 부회장 등 임직원이 직접 인도 현지에 가는 방안까지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업계와 LG화학 등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7일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 가스누출 사고 후부터 CEO인 신 부회장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가동 중이다.
본사와 현지법인이 수시로 사고 현황과 대책 수립 등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LG그룹도 LG화학과 유기적으로 공조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유가족과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겠다 약속했다.
LG폴리머스는 "최우선으로 유가족과 피해자분들을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이 보장되도록 하겠다"며 "전담조직을 꾸려 사망자 장례지원, 피해자 의료·생활 지원을 진행할 수 있고,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원뿐 아니라 향후 지역사회를 위한 중장기 지원사업도 개발·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 스티렌 가스 누출 사고로 인근 주민 12명이 사망하고, 주민 수천여명이 건강 이상 증상으로 치료를 받았다.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대부분 안정을 되찾으며 인명 피해는 점차 누그러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LG폴리머스 경영진이 독성물질 관리 소홀, 과실치사 등 혐의로 입건됐고, 인도환경재판소로부터 5억루피(약 81억원) 공탁을 명령받았다. 환경재판소는 산업프로젝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업체들의 환경규정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일종의 특별법원으로, 사안의 중대성을 자체 판단하고 직권으로 재판에 나설 수 있다.
또한 인도 환경부가 잠정 조사 결과 "LG폴리머스가 설비 확장 승인이 떨어지기 전에 공장을 가동해 규정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피해 주민과 환경 단체들의 소송 제기 가능성도 커서 LG화학은 피해 주민 지원 외에 사고 원인과 과실 여부 등을 두고 장기간 민·형사 재판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전신은 LG화학이 1996년 인수한 인도 최대 폴리스티렌(PS) 수지 제조업체 '힌두스탄 폴리머'다.
1997년 사명을 바꾼 LG폴리머스는 공장 규모 66만㎡, 근무 직원은 300여명이다.
직원은 대부분 현지 인력이고 한국인 직원은 정선기 법인장 등 5명이다. 코로나19로 인도는 3월 말부터 전국 봉쇄 조치가 내려진 상태라 인력 지원이 어려워 초기에는 정 법인장을 중심으로 국내 본사와 유기적으로 연락하며 대응해왔으나, 현지 여론 추이 등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추가 인력 파견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신 부회장이 직접 인도로 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회사가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책임을 다하겠다는 대내외 메시지를 강조하는 차원에서다.
공교롭게도 LG화학은 사고 소식이 전해지기 직전인 7일 오전 14년 만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과학을 인류의 삶에 연결한다"는 회사 새 비전을 선포했다.
당장 이번 사고 수습이 새 비전 선포를 통해 한 단계 도약하려는 LG화학이 마주한 선결 과제인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신 부회장 등 임직원의 인도 입국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관계자는 "사고 원인 규명과 피해자 지원 등 책임있는 수습을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열어놓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