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설문 교사 65% "교육정책에 현장의견 반영 잘 안 된다"
입력
수정
초등교사 96% "돌봄교실 학교 아닌 지자체 등이 운영해야"
77% "최근 1~2년 새 교원 사기 떨어져"…61% "교권보호 잘 안 된다" 교사의 3분의 2 가까이가 교육당국의 정책에 학교의 의견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이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해 발표했다. 설문에 응한 초등교사 90% 이상은 돌봄교실을 학교가 아닌 지방자치단체 등이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총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대학에서 일하는 교원 5천7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스승의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는 모바일로 링크를 보내 원하는 사람이 응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를 보면 '정부나 교육청의 교육정책이 학교 현장의 의견과 현실을 잘 반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40.6%가 "별로 그렇지 않다", 25.2%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해 65.8%가 부정적인 답을 내놨다.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6.8%였고 "대체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7.1%와 0.4%였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교원의 지방공무원화(化)에 대해서는 응답자 90.5%가 반대했고 2.3%가 찬성했다.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7.2%였다. 반대하는 이유는 '교원 간 지위와 보수가 차이가 나는 등 신분이 불안해질 수 있다'를 꼽은 응답자가 44.5%로 최다였다.
정부 국정과제인 '초중등 교육 권한 교육청 이양'에 대해서도 응답자 79.4%가 반대하고 13.3%가 찬성해 반대가 더 많았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7.3%였다. 응답자 중 초등교사에게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 주체가 누구여야 하는지 묻자 79.3%가 '지자체'를 꼽았다.
민간단체·기관을 고른 응답자는 15.7%였고 지금처럼 학교가 운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4.0%에 그쳤다.
돌봄은 '교육의 영역'에 해당하지 않아 학교가 돌봄교실을 운영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주장이 교육 현장에서 꾸준히 제기돼왔다.
초등교사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긴급돌봄 운영과 관련해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교사의 긴급돌봄 투입'(42.9%)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돌봄전담사와 업무갈등'(16.0%), '돌봄프로그램 운영 및 학생 학습지도'(15.4%) 순이었다.
'방역과 안전'을 꼽은 교사는 12.7%였다.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 77.7%는 "최근 1∼2년 사이 교원의 사기가 떨어졌다"고 답했다.
'변화가 없다'는 응답자는 18.7%였고 사기가 올랐다는 응답자는 3.6%였다.
교권이 잘 보호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61.0%가 "별로 그렇지 않다"(38.0%)라거나 "전혀 그렇지 않다"(23.0%)고 부정적으로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27.8%였고 "대체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10.2%와 0.9%였다.
응답자 47.5%(선지 중 2개 선택)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이나 부적응 학생의 생활지도'가 교직생활에서 제일 어렵다고 답했다.
40.9%는 '학부모 민원 응대와 학부모와 관계 유지', 39.4%는 '교육계를 매도·불신하는 여론·시선'을 교직생활 중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현재 교직생활에 만족하느냐는 물음에 응답자 3.2%는 "매우 그렇다", 28.9%는 "대체로 그렇다"고 답해 총 32.1%가 교직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37.8%였고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21.3%와 8.8%였다.
다시 태어나도 교사를 하겠다는 응답자는 30.1%(매우 그렇다 7.2%·대체로 그렇다 22.9%)였다.
이 질문에 "보통이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27.2%였고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친 응답자는 42.7%(별로 그렇지 않다 24.8%·전혀 그렇지 않다 17.9%)였다. 교사들이 꼽은 '이 시대 교사상'은 '학생을 믿어주고 잘 소통하는 선생님'(60.5%)과 '학생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선생님'(32.4%)이었다.
/연합뉴스
77% "최근 1~2년 새 교원 사기 떨어져"…61% "교권보호 잘 안 된다" 교사의 3분의 2 가까이가 교육당국의 정책에 학교의 의견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이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해 발표했다. 설문에 응한 초등교사 90% 이상은 돌봄교실을 학교가 아닌 지방자치단체 등이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총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대학에서 일하는 교원 5천7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스승의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는 모바일로 링크를 보내 원하는 사람이 응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를 보면 '정부나 교육청의 교육정책이 학교 현장의 의견과 현실을 잘 반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40.6%가 "별로 그렇지 않다", 25.2%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해 65.8%가 부정적인 답을 내놨다.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6.8%였고 "대체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7.1%와 0.4%였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교원의 지방공무원화(化)에 대해서는 응답자 90.5%가 반대했고 2.3%가 찬성했다.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7.2%였다. 반대하는 이유는 '교원 간 지위와 보수가 차이가 나는 등 신분이 불안해질 수 있다'를 꼽은 응답자가 44.5%로 최다였다.
정부 국정과제인 '초중등 교육 권한 교육청 이양'에 대해서도 응답자 79.4%가 반대하고 13.3%가 찬성해 반대가 더 많았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7.3%였다. 응답자 중 초등교사에게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 주체가 누구여야 하는지 묻자 79.3%가 '지자체'를 꼽았다.
민간단체·기관을 고른 응답자는 15.7%였고 지금처럼 학교가 운영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4.0%에 그쳤다.
돌봄은 '교육의 영역'에 해당하지 않아 학교가 돌봄교실을 운영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주장이 교육 현장에서 꾸준히 제기돼왔다.
초등교사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긴급돌봄 운영과 관련해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교사의 긴급돌봄 투입'(42.9%)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돌봄전담사와 업무갈등'(16.0%), '돌봄프로그램 운영 및 학생 학습지도'(15.4%) 순이었다.
'방역과 안전'을 꼽은 교사는 12.7%였다.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 77.7%는 "최근 1∼2년 사이 교원의 사기가 떨어졌다"고 답했다.
'변화가 없다'는 응답자는 18.7%였고 사기가 올랐다는 응답자는 3.6%였다.
교권이 잘 보호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61.0%가 "별로 그렇지 않다"(38.0%)라거나 "전혀 그렇지 않다"(23.0%)고 부정적으로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27.8%였고 "대체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10.2%와 0.9%였다.
응답자 47.5%(선지 중 2개 선택)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이나 부적응 학생의 생활지도'가 교직생활에서 제일 어렵다고 답했다.
40.9%는 '학부모 민원 응대와 학부모와 관계 유지', 39.4%는 '교육계를 매도·불신하는 여론·시선'을 교직생활 중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현재 교직생활에 만족하느냐는 물음에 응답자 3.2%는 "매우 그렇다", 28.9%는 "대체로 그렇다"고 답해 총 32.1%가 교직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37.8%였고 "별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21.3%와 8.8%였다.
다시 태어나도 교사를 하겠다는 응답자는 30.1%(매우 그렇다 7.2%·대체로 그렇다 22.9%)였다.
이 질문에 "보통이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27.2%였고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친 응답자는 42.7%(별로 그렇지 않다 24.8%·전혀 그렇지 않다 17.9%)였다. 교사들이 꼽은 '이 시대 교사상'은 '학생을 믿어주고 잘 소통하는 선생님'(60.5%)과 '학생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선생님'(32.4%)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