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진상조사위 역할 한계…법률 지원 뒷받침해야"
입력
수정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두고 출범한 5·18 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의 역할에 한계가 있어 법률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종철 조사위 부위원장은 12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5·18 40주년 입법과제 및 진상규명 지원방안 토론회'에서 "조사 인력과 기간의 제한, 조사 권한의 한계 등은 조사위가 극복할 문제가 아니라 법률(5·18 진상규명 특별법)의 개정을 통해 해결돼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안 부위원장은 "34명의 조사관으로 2년 이내에 진상규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쟁점에 대해 만족할 만큼의 조사 결과를 끌어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조사위가 제대로 역할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별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정호 법무법인 이우스 변호사는 "5·18 진상규명 특별법은 수사권과 기소권까지는 아니더라도 조사 권한의 강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내용이 없거나 일부 부족하다"며 "수사권과 기소권이 확보되지는 못하더라도 위원회에 조사 권한을 강력하게 부여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 동행 명령의 실효성 확보 ▲ 미국 기록물의 공개 요청 ▲ 성폭력 진상규명 ▲ 공익 제보자의 형사책임 면제 ▲ 위원회 업무 일부 전문가 또는 민간단체에 위임·위탁 등을 담아 특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희송 전남대 교수는 "조사위는 5·18의 완전한 진상 규명을 위해 군 기록물을 수집하고 국방부, 합참, 국정원에 대한 성역 없는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안종철 조사위 부위원장은 12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5·18 40주년 입법과제 및 진상규명 지원방안 토론회'에서 "조사 인력과 기간의 제한, 조사 권한의 한계 등은 조사위가 극복할 문제가 아니라 법률(5·18 진상규명 특별법)의 개정을 통해 해결돼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안 부위원장은 "34명의 조사관으로 2년 이내에 진상규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쟁점에 대해 만족할 만큼의 조사 결과를 끌어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조사위가 제대로 역할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별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정호 법무법인 이우스 변호사는 "5·18 진상규명 특별법은 수사권과 기소권까지는 아니더라도 조사 권한의 강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내용이 없거나 일부 부족하다"며 "수사권과 기소권이 확보되지는 못하더라도 위원회에 조사 권한을 강력하게 부여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변호사는 ▲ 동행 명령의 실효성 확보 ▲ 미국 기록물의 공개 요청 ▲ 성폭력 진상규명 ▲ 공익 제보자의 형사책임 면제 ▲ 위원회 업무 일부 전문가 또는 민간단체에 위임·위탁 등을 담아 특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희송 전남대 교수는 "조사위는 5·18의 완전한 진상 규명을 위해 군 기록물을 수집하고 국방부, 합참, 국정원에 대한 성역 없는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