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반등한 韓 증시…공매도 금지 효과?
입력
수정
코로나19 사태로 증시가 급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공매도 제도가 금지된 지 두 달이 지났습니다.
일각에선 최근 우리 증시가 보여 준 V자 반등이 공매도 금지에서 비롯됐다는 주장도 나오는데요.공매도 금지 효과, 과연 있었을까요? 박해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공매도(Short selling)란,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보이면 해당 종목을 빌려서 팔고, 실제로 주가가 떨어지면 주식을 다시 사서 차익을 보는 투자 기법입니다.예를 들어 1천원 짜리의 주식이 5백원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하면 해당 주식을 빌려 1천원에 팝니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해 500원이 되면 이때 주식을 매입해 빌렸던 걸 갚으면 되는데, 쉽게 말해 갖고 있지도 않은 주식을 팔아 수익을 얻는 겁니다.
이렇게 기업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하락에 베팅해 돈을 벌 수 있는 공매도 제도. 하락장에서는 분명 유용한 투자 방식으로 쓰일 텐데요.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이용하고 있을까요?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를 이용하는 투자자는 외국인 70%, 기관 30%로 개인들은 전무한 상황입니다.
개인투자자들도 원칙적으로 공매도를 할 수 있긴 하지만, 기관과 외국인에 비교해 신용도가 떨어지다 보니 훨씬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받게 되고, 결국 이용하지 않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또한, 공매도가 주가 하락에 베팅하다 보니 수요가 많이 몰릴수록 실제 주가를 끌어내리는 효과까지 있고 여기에 무차입 공매도 등 외국인 투자자의 불법 공매도 문제도 잊을만하면 불거지고 있어, 개인투자자들 입장으로선 억울한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코로나 팬데믹으로 글로벌 주식시장 급락하자 우리 정부는 6개월간 공매도를 금지하는 초강수 조치를 두었습니다.
그 효과는 어땠을까요?
공매도 비중이 가장 높았던 다섯 종목의 주가를 살펴보면, 공매도 금지 시행 후 많게는 40%, 적게는 27%가량 올랐습니다.
증시 전반으로 보면, 코로나 사태로 증시 패닉이 정점을 찍었던 지난 3월 19일을 기준으로 우리 증시는 약 32% 반등했습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공매도 제도를 막지 않은 해외 주요국들과 비교해서도 반등 폭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각국의 증시가 가장 급락했던 날을 기준으로 주가 추이를 비교해보면, 코스피 지수가 32% 상승할 때 미국 S&P지수는 약 28%, 영국과 일본 증시는 각각 20%가 조금 넘게 반등했습니다.
홍콩 항셍지수는 반등 폭이 코스피의 약 1/3 수준밖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걸 공매도 금지 효과로 봐야 할까요? 공매도만 금지해서, 주가 급락을 막을 수 있다면, 왜 모든 국가들은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걸까요?
개인 투자자들의 바람대로 공매도 제도를 없애는 게 능사일까요.
유주안 기자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박해린기자 hlpark@wowtv.co.kr
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
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
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
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각에선 최근 우리 증시가 보여 준 V자 반등이 공매도 금지에서 비롯됐다는 주장도 나오는데요.공매도 금지 효과, 과연 있었을까요? 박해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공매도(Short selling)란,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보이면 해당 종목을 빌려서 팔고, 실제로 주가가 떨어지면 주식을 다시 사서 차익을 보는 투자 기법입니다.예를 들어 1천원 짜리의 주식이 5백원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하면 해당 주식을 빌려 1천원에 팝니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해 500원이 되면 이때 주식을 매입해 빌렸던 걸 갚으면 되는데, 쉽게 말해 갖고 있지도 않은 주식을 팔아 수익을 얻는 겁니다.
이렇게 기업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하락에 베팅해 돈을 벌 수 있는 공매도 제도. 하락장에서는 분명 유용한 투자 방식으로 쓰일 텐데요.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이용하고 있을까요?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를 이용하는 투자자는 외국인 70%, 기관 30%로 개인들은 전무한 상황입니다.
개인투자자들도 원칙적으로 공매도를 할 수 있긴 하지만, 기관과 외국인에 비교해 신용도가 떨어지다 보니 훨씬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받게 되고, 결국 이용하지 않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또한, 공매도가 주가 하락에 베팅하다 보니 수요가 많이 몰릴수록 실제 주가를 끌어내리는 효과까지 있고 여기에 무차입 공매도 등 외국인 투자자의 불법 공매도 문제도 잊을만하면 불거지고 있어, 개인투자자들 입장으로선 억울한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코로나 팬데믹으로 글로벌 주식시장 급락하자 우리 정부는 6개월간 공매도를 금지하는 초강수 조치를 두었습니다.
그 효과는 어땠을까요?
공매도 비중이 가장 높았던 다섯 종목의 주가를 살펴보면, 공매도 금지 시행 후 많게는 40%, 적게는 27%가량 올랐습니다.
증시 전반으로 보면, 코로나 사태로 증시 패닉이 정점을 찍었던 지난 3월 19일을 기준으로 우리 증시는 약 32% 반등했습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공매도 제도를 막지 않은 해외 주요국들과 비교해서도 반등 폭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각국의 증시가 가장 급락했던 날을 기준으로 주가 추이를 비교해보면, 코스피 지수가 32% 상승할 때 미국 S&P지수는 약 28%, 영국과 일본 증시는 각각 20%가 조금 넘게 반등했습니다.
홍콩 항셍지수는 반등 폭이 코스피의 약 1/3 수준밖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걸 공매도 금지 효과로 봐야 할까요? 공매도만 금지해서, 주가 급락을 막을 수 있다면, 왜 모든 국가들은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걸까요?
개인 투자자들의 바람대로 공매도 제도를 없애는 게 능사일까요.
유주안 기자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박해린기자 hlpark@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
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
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
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