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韓 51개사 코로나 치료제 개발 경쟁…해볼 만한 도전이다

쉽지 않은 시도지만 실패해도 기술·경험 쌓여
임상 등 규제완화 지원해 K바이오 위상 높이길
국내 제약·바이오회사 51곳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는 한경 보도(5월 19일자 A1면)다. 신약 개발의 관문인 환자 대상 임상시험을 승인받은 것만 부광약품의 항바이러스제인 레보비르 등 12건에 이른다고 한다. 예단할 수는 없지만 GC녹십자가 개발 중인 혈장치료제는 연내 첫 국산 치료제로 선보일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치료제보다 개발이 까다로운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개발 프로젝트가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으로부터 360만달러(약 44억원)를 지원받는 등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은 어려운 도전이지만 의미와 가치는 매우 크다. 신약 개발에는 막대한 자금과 오랜 시간을 쏟아부어야 하고 실패 가능성도 커 기업으로선 위험성이 높다. 성공하면 대박이지만 실패하면 회사 존립을 위협받을 정도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대부분의 신약을 글로벌 거대 제약사들이 독점하는 이유이기도 하다.이런 위험한 도전에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이 뛰어든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뜻깊다. 설령 이번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실패하더라도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과 경험은 또 다른 신약 개발 도전에 밑거름이 될 게 틀림없다. 또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성공해 세계를 공포에 떨게 하는 코로나19 퇴치에 기여한다면 K바이오의 위상을 드높일 신기원이 될 것이다.

정부도 이런 도전을 규제완화 등으로 밀어줘야 한다. 무엇보다 치료제 개발회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임상시험 부문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당장 임상환자 확보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병원과 제약사 간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번거로운 서류심사 등 임상 규제도 한시적으로 푸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의사 책임 아래 환자에게 신약을 직접 처방할 수 있게 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긴급 사용승인 대상도 중증환자 중심에서 좀 더 확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코로나 경제위기 극복도 결국은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달려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경제가 완전히 회복하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엔 전 세계 제약·바이오 회사들이 달라붙어 있다. 마침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가 진행한 백신 후보(mRNA-1273)에 대한 1상 임상시험에서 긍정적 결과가 나왔다는 소식이 글로벌 증시를 달구기도 했다. 머지않아 한국 제약·바이오회사에서도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의 낭보가 전해지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