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한반도대화 뒷얘기…"김정은 솔직·당당했다"
입력
수정
"비건, 9·19 평양합의 앞두고 '올스톱하라' 압박"
"하노이회담 앞두고 미국내 '배드딜'보다 '노딜' 여론"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2018년 4·27 남북정상회담부터 2019년 2월 북미정상의 하노이노딜까지 긴박했던 10개월 간의 한반도 대화 뒷얘기를 21일 공개했다.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계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실린 대담을 통해서다.
임 전 실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 만남인 4·27 판문점회담에 배석했다.
그는 "두 정상의 대화가 끝난 뒤 느낌은 안심과 기대였다"며 "(김 위원장의) 캐릭터가 굉장히 솔직하면서도 당당했다.대통령과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상당히 확고한 의지를 읽을 수 있었다"고 떠올렸다.그로부터 한 달 뒤 두 정상의 5·26 판문점회담 개최에 대해선 "뜻밖이었다"고 표현했다.
당시에는 4·27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첫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증폭되는 동시에 북미 간 기 싸움이 이어졌다.임 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안 만나도 상관없어'라는 식이었다"며 "그런 상황에서 북쪽이 모멘텀을 이어가기 위해 급하게 제안한 것으로 생각되고, 대통령도 하루 만에 흔쾌히 수락했다"고 전했다.
결국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은 북미 정상의 6·12 싱가포르 회담을 견인했다.
임 전 실장은 첫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 데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력을 평가했다.2018년 3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평양 방문 직후 이뤄진 백악관 방문 일화에 이를 담았다.
임 전 실장은 "정 실장이 '김정은 위원장은 뚜렷한 비핵화 의지를 갖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을 희망한다'고 설명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거봐. 내가 뭐랬어. 맞지? 그거야'라고 했다고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정 실장에게 "나는 좋다.
만날 의사가 있다.
당신이 가서 기자회견을 하라"고 요청하고, 백악관 기자실을 직접 찾아 정 실장의 회견을 공지했다는 뒷얘기를 전했다.
임 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부의 엄청난 반대를 뚫고 뭔가를 만들어보려 한 점을 평가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이 미국 내 유보·반대를 돌파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문 대통령도 어마어마한 공을 들였다"고도 했다.
임 전 실장은 남북 정상의 세 번째 만남인 9월 평양정상회담을 앞두고 불거진 돌발 변수도 공개했다.
그는 9월 평양회담에서의 군사합의 도출 등을 위해 남북 간, 한미 간 끊임없는 소통이 이뤄졌다고 강조하면서 "그런데 그 무렵 여름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임명됐는데 압박을 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기가 업무 파악을 해 '오케이'하기 전까지는 '올스톱'하라는 것이었다"며 "우리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대통령이 연락사무소 설치와 군사합의에 관한 남북 간 합의사항을 밀고 갔고, 비건이 들어오기 전에 도장을 찍었다.
이틀 뒤 비건은 한국에 들어왔다"고 회고했다.
임 전 실장은 하노이노딜로 끝난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에서 충분히 기대를 품어볼 만했다"고 밝혔다.다만 그는 "여러 스캔들로 미국 내에서 정치적으로 몰린 환경이 있지 않았나"라며 "하노이로 가기 전에 미국 의회, 정부, 조야 등 사방에서 '배드딜'보다는 '노딜'이 낫다고 압박한 상황이 결국 트럼프 대통령으로 하여금 더 나아가지 못하게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하노이회담 앞두고 미국내 '배드딜'보다 '노딜' 여론"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2018년 4·27 남북정상회담부터 2019년 2월 북미정상의 하노이노딜까지 긴박했던 10개월 간의 한반도 대화 뒷얘기를 21일 공개했다.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계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실린 대담을 통해서다.
임 전 실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 만남인 4·27 판문점회담에 배석했다.
그는 "두 정상의 대화가 끝난 뒤 느낌은 안심과 기대였다"며 "(김 위원장의) 캐릭터가 굉장히 솔직하면서도 당당했다.대통령과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상당히 확고한 의지를 읽을 수 있었다"고 떠올렸다.그로부터 한 달 뒤 두 정상의 5·26 판문점회담 개최에 대해선 "뜻밖이었다"고 표현했다.
당시에는 4·27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첫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증폭되는 동시에 북미 간 기 싸움이 이어졌다.임 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안 만나도 상관없어'라는 식이었다"며 "그런 상황에서 북쪽이 모멘텀을 이어가기 위해 급하게 제안한 것으로 생각되고, 대통령도 하루 만에 흔쾌히 수락했다"고 전했다.
결국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은 북미 정상의 6·12 싱가포르 회담을 견인했다.
임 전 실장은 첫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 데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력을 평가했다.2018년 3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평양 방문 직후 이뤄진 백악관 방문 일화에 이를 담았다.
임 전 실장은 "정 실장이 '김정은 위원장은 뚜렷한 비핵화 의지를 갖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을 희망한다'고 설명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거봐. 내가 뭐랬어. 맞지? 그거야'라고 했다고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정 실장에게 "나는 좋다.
만날 의사가 있다.
당신이 가서 기자회견을 하라"고 요청하고, 백악관 기자실을 직접 찾아 정 실장의 회견을 공지했다는 뒷얘기를 전했다.
임 전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부의 엄청난 반대를 뚫고 뭔가를 만들어보려 한 점을 평가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이 미국 내 유보·반대를 돌파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문 대통령도 어마어마한 공을 들였다"고도 했다.
임 전 실장은 남북 정상의 세 번째 만남인 9월 평양정상회담을 앞두고 불거진 돌발 변수도 공개했다.
그는 9월 평양회담에서의 군사합의 도출 등을 위해 남북 간, 한미 간 끊임없는 소통이 이뤄졌다고 강조하면서 "그런데 그 무렵 여름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임명됐는데 압박을 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기가 업무 파악을 해 '오케이'하기 전까지는 '올스톱'하라는 것이었다"며 "우리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대통령이 연락사무소 설치와 군사합의에 관한 남북 간 합의사항을 밀고 갔고, 비건이 들어오기 전에 도장을 찍었다.
이틀 뒤 비건은 한국에 들어왔다"고 회고했다.
임 전 실장은 하노이노딜로 끝난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에서 충분히 기대를 품어볼 만했다"고 밝혔다.다만 그는 "여러 스캔들로 미국 내에서 정치적으로 몰린 환경이 있지 않았나"라며 "하노이로 가기 전에 미국 의회, 정부, 조야 등 사방에서 '배드딜'보다는 '노딜'이 낫다고 압박한 상황이 결국 트럼프 대통령으로 하여금 더 나아가지 못하게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해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