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은 多産, 깃털은 출세…책거리에 담긴 先人들의 욕망

호림박물관 '서가의 풍경' 展

궁중화로 출발한 조선 책가도
문자도와 민화 책거리로 변화
기물에 길상·기복 의미 담아
서울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의 민화 특별전 ‘서가의 풍경-책거리·문자도’에 전시된 ‘책거리 8폭 병풍’의 일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호림박물관 제공
서가에 책이 가득 쌓인 모양을 그린 정물화 책가도(冊架圖)가 처음 등장한 것은 조선 정조 때였다. 서학(천주교)과 패관잡기류의 통속적인 책들이 중국에서 유입되는 걸 막기 위해 정조는 고전들이 가득한 책가도를 선보였다. ‘후세의 병든 문장’을 바로잡고 고문(古文)의 문체를 회복하기 위해 문체반정(文體反正)의 상징으로 내세운 게 책가도였다.

궁중화로 시작한 책가도가 재배계층을 거쳐 민간에도 유행하고 대중화하면서 내용이 달라졌다. 화려한 채색도자기와 자명종, 회중시계, 안경 등 청나라를 통해 수입한 중국과 서양의 값비싼 물건들이 한 화면에 담겼다. 특히 길상적인 의미가 담긴 소재들이 더해지면서 기복적인 성격으로 변화했다. 민화 전문가인 정병모 경주대 교수는 지난달 출간된 세계를 담은 조선의 정물 책거리에서 “책거리는 책과 물건이 공존하기 때문에 고고하면서도 통속적”이라고 했다. 조선후기 문화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풍경이라는 것이다.
책가도 8폭병풍
서울 신사동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에서 열리고 있는 민화 특별전 ‘서가의 풍경-책거리·문자도’는 조선후기 사람들을 지배한 유교이념과 학문, 출세와 물질적 욕망을 동시에 보여주는 자리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책가도 10폭 병풍’과 김세종 컬렉션 ‘책가도 8폭병풍’를 비롯한 책가도·책거리, 유교문자도와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혁필문자도, 이응노·남관·손동현 등 근현대 작가들의 작품 등 모두 37점을 선보이고 있다.

어좌 뒤에 일월오봉도 대신 책가도를 둘 정도로 책을 좋아했던 정조의 책가도는 현재 남아있지 않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책가도 10폭 병풍’은 정조가 사랑했던 책가도를 짐작케 한다. 서가를 책으로만 가득 채워 책과 다양한 기물들을 배치한 민화 책거리와는 확연히 대비된다.

책을 가까이 하며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도록 했던 정조의 뜻과 달리 지배계층과 민간에서 유행한 책가도에는 책과 함께 다양한 기물(器物)이 담겼다. 서가를 빼고 책과 기물만 배치한 책거리도 등장했다. 책거리에 나타난 도자기, 고대 청동향로,두루마리, 꽃과 과일 등은 당시 사람들의 서양 문물에 대한 호기심과 명품 선호 취향은 물론 더 나은 삶을 향한 열망 같은 것을 엿보게 한다. 전시된 6폭, 8폭, 10폭의 책거리 병풍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길상(吉祥)가 기복(祈福)의 상징물이다. 공작 깃털, 붓, 두루마리 등은 입신 출세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고, 수박과 참외, 오이, 가지, 석류 등 씨가 많은 과일은 자손의 번성을 기원하는 의미다. 복숭아는 장수의 상징이다. 신선들이 산다는 곤륜산의 복숭아를 먹으면 늙지도 죽지도 않는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살구꽃은 급제화(及第花)라 불릴 정도로 관직 진출의 상징이었고, 매화는 선비와 지조와 절개를, 다른 초목들이 시드는 가을에 홀로 피는 국화는 은거처사의 절개를 나타냈다. 쌓여있는 책 위에 모란 화분을 놓은 것은 부귀와 영화를 향한 열망에서였다. ‘꽃중의 군자’로 불린 연꽃은 순결과 탈속의 상징으로 여겼고, 꽃과 열매(연밥)가 동시에 열리므로 자손을 빨리 얻기를 바라는 소망도 담았다. 문자도는 문자를 도안화한 그림이다. 효제충신예의염치(孝悌忠信禮義廉恥)와 같은 유교적 덕목을 담은 유교문자도, 행복·출세·장수 등을 기원하는 길상문자도가 대부분이다. 유교문자도는 처음에는 글자 안에 관련 고사를 그리는 형식이었으나 점차 문화의 획 일부를 대표적 상징물로 대체했고, 글자보다 삽입되는 그림의 치장효과에 더욱 주목하게 돼 일종의 그래픽디자인이나 타이포그래피 성격을 띠었다.

효(孝)자의 맨 뒤에 단골로 등장하는 잉어는 ‘왕상빙리(王祥氷鯉)’의 고사에서 비롯됐다. 왕상이라는 효자가 한겨울에 계모를 위해 잉어를 잡으려고 강가로 나왔는데 꽁꽁 언 강물이 저절로 깨지면서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이야기다. 맹종이라는 효자가 한겨울에 어머니께 드릴 죽순을 구하지 못해 눈물을 흘렸는데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솟아났다는 맹종읍죽(孟宗泣竹)의 고사를 따라 孝를 죽순으로 장식하기도 했다.
문자도의 지역별 특징도 흥미롭다. 안동지역에서는 忠(충)자에 새우와 대나무를 주로 그렸다. 단단한 껍질이 있어서 지조를 굳게 지키는 지조와 충절을 상징해서다. 恥(치)자에는 위패 형식을 비석을 넣었다. 강원 지역 문자도는 전체 화면을 크게 두 개로 나눠 문자도와 산수, 화조화를 그리고 각 글자와 관련된 시를 적어 문자도 뿐만 아니라 화조, 산수의 미감까지 감상할 수 있다.
문자도의 전국적 유행을 보여주는 제주도에서는 육지에서 전해진 문자도를 자신들만의 방식을 나타냈다. 화면을 2단이나 3단으로 구획해 제주 특유의 동물과 식물을 상·하단에, 글자를 중단에 그려넣었다. 특히 새를 표현할 때 쓰인 독특한 삼각형 도안은 제주 민간의 삼신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

화조화와 어우러진 문자도, 수(壽)자와 복(福)자를 다양한 형태로 그린 백수백복도, 문자와 그림의 관계를 탐구했던 이응노와 남관, 손동현 등의 근현대 작품도 볼 수 있다. 전시는 7월 31일까지. 이번 특별전과 연계해 서울 신림동의 호림박물관 본관에서 수복문(壽福文) 청화백자 등 길상적인 문양이 장식된 도자기와 공예품 등 80여점을 선보이고 있어 함께 봐도 좋겠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