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길 다시 열고 마이스산업 기지개…부산 경제, 부활의 신호탄 쏜다
입력
수정
지면C1
다시 뛰는 해양수도 부산
벡스코, 중단됐던 전시 재개하며 '숨통'
에어부산도 7월부터 다시 국제선 띄워
"코로나 위기 넘고 새로운 부산 만들자"
지자체·기업·시민 경제 회복 '총력전'
하반기부터 경제가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많은 기업의 진단도 나온다. 글로벌 시장이 막혀 새로운 돌파구를 여간 찾기가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추락하는 부산 경제에 생존의 몸부림과 함께 상생, 협력을 외치며 지자체와 기업인, 시민들이 총력전을 펼치자 전시회와 국가를 오가는 하늘길이 열리며 생기를 조금씩 되찾고 있다. 다행인 것은 부산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거의 자취를 감춰 경제활동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부산시도 경제 살리기에 총력전을 펼치고 나섰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타이밍을 놓치면 늪에 빠질 수 있다”며 기업인과 시민단체, 정치인들을 만나며 부산 경제 회생전략 마련과 강력한 추진 드라이버를 걸고 있다,
지난 14일 포스트 코로나 대책으로 제조업 살리기 대책을 내놓았다. 긴급 유동성 공급과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 제조 업종별 맞춤 지원, 규제혁신 등 4개 분야 15개 과제에 1조8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변 권한대행은 “제조업은 일자리와 소득을 책임지고 있는 부산 경제의 근간으로 반드시 지켜야 할 기간산업”이라며 “현실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세밀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금융회사도 힘을 보탰다. BNK금융그룹은 22조원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등을 통해 지역 살리기에 힘쓰고 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1.5%의 저금리 대출과 보증서 대출로 7800억원 한도로 신규 자금도 지원한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 19조7000억원도 만기를 연장해주고 있다.
기술보증기금도 올해 창립 31주년을 맞아 코로나19 극복과 벤처 4대 강국 실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정윤모 기보 이사장은 “창업과 벤처 생태계가 무너지면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없다”며 “당초 계획보다 9000억원 증가한 총 21조9000억원 이상의 보증을 공급해 위기를 함께 넘기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에 터전을 잡은 기업들도 코로나19를 이겨내고 새로운 도전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부산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한 르노삼성자동차는 감소한 수출을 만회하기 위해 시장 확보에 부심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에 맞춘 혁신적인 세일즈와 시승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의 마음을 잡고, 출시한 신차를 지속적으로 마케팅해나갈 계획이다.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많은 기업은 스스로 경영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생산을 늘리고 공급망 다변화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다”며 “가덕신공항과 복합리조트 건설 등 부산이 새로운 동력을 제대로 찾아 일자리를 만들고 성장터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 줄 것”을 당부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