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포스트 코로나' 대비할까…5월 금통위 금리인하 '무게'
입력
수정
통화완화 기조, 저물가, 원화 안정세가 금리인하 뒷받침새 진용을 갖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수출과 내수가 모두 위축된 가운데 기준금리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가 모두 하향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올 성장률 전망치 0% 초반으로 조정할 듯"
◆ 기준금리 연 0.5% 하향 조정에 무게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오는 28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현행 연 0.75%인 기준금리가 연 0.5%로 낮춰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교역 위축에 수출이 급감하고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까지 대두되고 있어서다. 0%대에 근접한 물가도 경기 침체 우려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5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0.5%로 0.25%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지난 금통위 회의 당시 2명의 금리인하 소수의견이 제시됐고, 3차 추경으로 인한 적자국채 발행 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어서다.
이 연구원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통화완화 정책, 낮은 물가 수준, 안정적인 원화 흐름이 금리인하 여력을 뒷받침해준다"고 설명했다.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도 한은이 5월 기준금리를 연 0.5%로 내릴 것으로 봤다. 강 연구원은 "3명의 신임 금통위원이 첫 회의라는 점은 금리인하 결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면서도 "대부분 친정부 성향이 높기 대문에 경기부양 의지가 강한 정부와 정책 공조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윤제 서영경 주상영 신임 금통위원은 지난달 22일 임기를 시작하며 침체 위기를 우려, 한국은행의 적극적인 역할을 다짐했다. 이에 공격적인 재정정책으로 경기를 부양하려는 정부와 금리인하를 통해 발을 맞출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정부는 50여년 만에 3차 추가경정예산 작업에 착수하고, 총 240조원 규모에 이르는 코로나19 대응책을 제시한 상태다.
강 연구원은 이달 기준금리와 함께 발표되는 올해 GDP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조정될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지표가 악화됨에 따라 전망치는 0%대 초반으로 낮춰질 것이라는 판단이다.◆ "韓 역성장 가능성 높아"
지난달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3% 감소한 369억2000만달러에 그쳤다. 2016년 2월(359억3000만달러) 이후 4년3개월 만에 최저치다. 수출 부진에 무역수지도 99개월 만에 처음으로 적자 전환했다.
강 연구원은 "5월 수출 증가율이 4월에 이어 두 자릿수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상반기 중 수출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올해 한국은 역성장할 가능성이 높지만 한은은 성장률 전망치를 0% 초반으로 제시할 것"이라고 했다.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국내 경제의 0%대 성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지난달 금통위 직후 이 총재는 "올해 경제성장이 1%대는 어렵겠지만 플러스(+) 성장은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은이 지난달 23일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은 전분기보다 1.4% 감소했다.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코로나19 여파가 본격 반영될 2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폭이 더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외 경제전망 기관들은 국내 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내려잡은 상태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국내 경제가 연간 0.2% 성장에 그칠 것으로 봤고, 현대경제연구원은 연 0.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역성장을 전망한 곳도 적지 않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0.5%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골드만삭스 등은 각각 -1.2%, -0.7%를 제시했다.
◆"5월 말고 7월 금리인하" 전망도
다만 한은이 5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다음 회의가 열리는 7월에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견해도 적지는 않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한은이 다양한 방식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고 금융시장도 안정된 상황"이라며 "재정효과를 좀 더 지켜본 후 7월에나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주장했다.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5월보다는 7월이 금리인하 적기라는 의견을 내놨다. 그는 " 소비가 최악의 순간을 지나고 있고 정부의 3차 추경 윤곽은 6월 초 드러날 것"이라며 "정부와의 정책 공조를 고려한다면 7월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