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완 신임 동북아평화연대 이사장 "750만 재외동포, 문화·경제영토 늘릴 자산이죠"
입력
수정
지면A32
1990년 소련 방문 때 고려인 만나“30년 전 옛 소련 땅에 한글학교를 세우면서 재외동포를 위해 열심히 뛰어다녔죠. 지금도 여전히 재외동포를 위해 할 일이 많습니다.”
말 안 통하자 재외동포 지원 결심
전 세계 離散민족 연구도 체계화
"100만 명 국내 체류 동포 포함
정체성 유지토록 지원 늘려야"
재외동포 지원사업을 벌이는 사단법인 동북아평화연대의 신임 이사장으로 지난달 선임된 임채완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69·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세계에 흩어진 재외동포는 한국의 세계화를 위해 너무나 소중한 자산”이라며 이렇게 말했다.임 이사장은 재외동포 연구의 국내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1981년 전남대 교수로 부임한 이래 재외동포와 관련한 연구를 이끌면서 정부의 재외동포 관련 정책 수립에 깊숙이 관여했다. 2015년 그 공로를 인정받아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그는 2006년 재외동포와 관련한 연구를 체계화해 전남대에 ‘디아스포라학과’를 개설했다. 원래 디아스포라(diaspora)는 전 세계에 흩어진 유대인을 의미한다. 하지만 임 이사장은 이 단어를 유대인뿐 아니라 한국의 고려인처럼 세계 각국의 이산(離散)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해 세계 최초로 학문으로 집대성했다. 그 결실로 2012년 이스라엘 학자를 포함한 16개국 23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세계디아스포라학회를 설립했다. 임 이사장은 지금도 이 학회의 학회장을 맡고 있다.
임 이사장이 재외동포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북한 체제와 관련한 논문을 쓰기 위해 소련에 간 임 이사장은 현재 우즈베키스탄 수도인 타슈켄트에서 고려인을 만났다. 그는 “생김새는 똑같은데 말이 전혀 통하지 않았다”며 “북한이 사회주의권 국가에 흩어진 동포를 교육하고 있을 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아 충격을 받았다”고 당시를 회고했다.재외동포가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잃어가는 것에 문제의식을 느낀 임 이사장은 1991년 귀국해 재외동포 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는 소련에 한글학교를 짓기로 결심하고 지역 신문인 광주일보에 글을 연재하며 모금운동을 펼쳤다. 반응은 뜨거웠다. 그는 “당시 돈으로 약 5만달러를 모았다”고 했다. 이 돈으로 고려인 밀집지역에 광주한글학교(현 세종학당)를 6개 세웠다. 그는 “군사 영토는 정해져 있지만 세계에 흩어진 750만 명의 재외동포가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잃지 않는다면 경제영토와 문화영토를 얼마든지 넓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 이사장은 “국내 체류 중인 재외동포를 위해서도 할 일이 많다”고 했다. “국내 체류 재외동포가 불법체류자를 포함해 약 100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정부의 재외동포 관련 업무는 15개 부처 및 청에 분산돼 있어 체계적 지원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외국인 취급을 받고 있는 재외동포의 법적 지위 확립과 체계적인 교육·의료 지원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