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이용자, 1주일에 2번 이상 방문…평균 6347원 지출
입력
수정
편의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1주일에 2회 이상 편의점을 방문하며, 매번 6000원 정도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시장분석업체 오픈서베이가 발표한 '편의점 트렌드 리포트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 평균 2.6회 편의점에 가고, 1회 평균 6347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이번 조사는 이달 11일 편의점 물건·서비스 구매 경험이 있는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설문으로 진행됐다.
연령별로는 20대(2.9회)와 30대(2.9회)의 편의점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평균 지출 금액은 40대가 7435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7330원, 30대 6950원, 20대 5495원, 10대 4525원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보다는 남성의 편의점 이용이 잦았다. 남성들은 1주일에 평균 2.9회 편의점을 방문해 1회에 6520원을 썼다. 반면 여성은 주 2.2회 이용했으며, 1회 방문 시 사용 금액도 6520원으로 남성보다 적게 지출했다.편의점 방문 목적으로는 식료품 구매가 65.9%로 가장 많았고, 비식료품 구매(24.1%), 서비스 이용(10.1%)이 뒤를 이었다.
편의점에서 주로 사는 식료품(복수응답)으로는 86.7%가 음료류(커피 제외)를 꼽았다. 이어 삼각김밥 등 간편식류(86.2%), 과자류(85.0%), 커피음료류(81.1%), 아이스크림·빙수류(79.8%), 라면·면류(79.2%) 순이었다. 비식료품(복수응답)은 상비약(52.3%), 우산·우비(45.1%), 일회용 식기류(42.3%), 제지류(38.7%) 의약외품 (37.4%) 순으로 나타났다. 식료품은 끼니 해결(39.9%)보다는 간식 목적(60.1%)으로 사는 경우가 많았다.
편의점에서 구매한 식료품은 본인이 사는 집(74.0%)에서 혼자(63.8%)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편의점을 선택할 때 가장 고려하는 요소(복수응답)는 매장 접근성(82.9%)이었다. 뒤이어 프로모션 행사(29.1%), 카드 및 통신사 제휴 할인(26.1%), 단독 판매 상품(20.2%), 다양한 상품 종류(19.1%) 등의 이유가 이어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6일 시장분석업체 오픈서베이가 발표한 '편의점 트렌드 리포트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 평균 2.6회 편의점에 가고, 1회 평균 6347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이번 조사는 이달 11일 편의점 물건·서비스 구매 경험이 있는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설문으로 진행됐다.
연령별로는 20대(2.9회)와 30대(2.9회)의 편의점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평균 지출 금액은 40대가 7435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7330원, 30대 6950원, 20대 5495원, 10대 4525원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보다는 남성의 편의점 이용이 잦았다. 남성들은 1주일에 평균 2.9회 편의점을 방문해 1회에 6520원을 썼다. 반면 여성은 주 2.2회 이용했으며, 1회 방문 시 사용 금액도 6520원으로 남성보다 적게 지출했다.편의점 방문 목적으로는 식료품 구매가 65.9%로 가장 많았고, 비식료품 구매(24.1%), 서비스 이용(10.1%)이 뒤를 이었다.
편의점에서 주로 사는 식료품(복수응답)으로는 86.7%가 음료류(커피 제외)를 꼽았다. 이어 삼각김밥 등 간편식류(86.2%), 과자류(85.0%), 커피음료류(81.1%), 아이스크림·빙수류(79.8%), 라면·면류(79.2%) 순이었다. 비식료품(복수응답)은 상비약(52.3%), 우산·우비(45.1%), 일회용 식기류(42.3%), 제지류(38.7%) 의약외품 (37.4%) 순으로 나타났다. 식료품은 끼니 해결(39.9%)보다는 간식 목적(60.1%)으로 사는 경우가 많았다.
편의점에서 구매한 식료품은 본인이 사는 집(74.0%)에서 혼자(63.8%)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편의점을 선택할 때 가장 고려하는 요소(복수응답)는 매장 접근성(82.9%)이었다. 뒤이어 프로모션 행사(29.1%), 카드 및 통신사 제휴 할인(26.1%), 단독 판매 상품(20.2%), 다양한 상품 종류(19.1%) 등의 이유가 이어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