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자동차 생산 급감…코로나, 제조업 덮쳤다
입력
수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한국 경제의 중추인 제조업을 덮쳤다. 지난달 제조업 생산·가동·출하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11년4개월만에 최악 수준으로 추락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은 전월대비 6.4% 줄었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 생산도 6.0% 하락했다. 둘 다 2008년12월 이후 최대 폭 감소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산업활동동향 발표와 관련해 "서비스업에서 시작된 위기가 제조업으로 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반도체·자동차 동반 추락
우리 경제를 이끄는 대표 산업인 반도체와 자동차의 생산이 급감했다. 반도체는 글로벌 경기 둔화로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15.6% 생산이 감소했다. 11년4개월 전 -16.9%를 기록한 후 최대 폭 감소다. 자동차 생산은 해외 판매수요 위축으로 인해 공장 가동이 줄어든 여파로 13.4% 줄었다.
김용범 차관은 이날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에서 "4월 산업활동동향에 위기의 심각성이 드러났다"며 "코로나19가 혁신성장 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충격 이후 상상도 못했던 수치를 마주하고 있다"고도 했다.제조업 가동률은 68.6%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5.7%포인트 떨어졌다. 하락 폭은 11년4개월만에 최대이며, 가동률 수준은 2009년 2월 66.8% 이후 11년 2개월만에 최저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생산과 공장 가동이 줄면서 제조업 출하도 7.2% 감소했다. 역시 11년4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재고가 늘면서 재고 대비 출하 비율을 뜻하는 재고율은 119.1%를 기록했다. 올해 2월 119.2%에 이어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119%대의 재고율은 외환위기 때였던 1998년 9월(122.9%) 이후 최대 수준이다.
○업계, "유동성 공급 필요해"투자 부문에선 건설이 직격탄을 맞았다. 건설기성과 건설수주가 동반 하락했다. 특히 건설수주는 건축과 토목이 모두 줄어 전년 동월 대비 44.9%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하며 3개월째 증가했지만 2월 16.0%, 3월 10.1%에 비해 증가세가 꺾였다.
이날 자동차산업협회와 반도체산업협회 등 26개 기관이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제3차 산업발전포럼'을 열고 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투자를 늘려야한다는 주장을 한 것도 산업 전반이 큰 위기를 겪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전자통신 50조원, 자동차 32조8000억원, 기계 15조5000억원, 석유화학 2조4000억원, 섬유 4조6000억원 등 5개 업종에서만 105조3000억원의 유동성 애로가 있다"며 "업종별 특별보증규모를 확대하고, 금융사각지대에 놓인 해외현지법인을 위한 특별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건의했다.○서비스업·소매판매 늘었지만 회복은 아직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에 비해 0.5% 증가했다. 숙박음식점, 교육 등 3월에 큰 폭으로 감소했던 업종의 기저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6.1% 줄어들어 서비스업 생산이 회복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포함한 전 산업 생산은 2.5% 감소했다.
소매판매도 전월대비 5.3% 증가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20.0%), 승용차 등 내구재(4.1%), 화장품 등 비내구재(1.6%) 판매가 모두 늘었다. 하지만 통계청은 이 역시 2018년 2월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외환위기 이후 22년1개월만에 최저치다. 통계청은 취업자 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경제심리지수, 코스피 등이 감소해 전월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은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는 5월 이후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책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지만 제조업 부문 영향은 해외의 코로나19 확산 등 불확실성이 높아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은 전월대비 6.4% 줄었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 생산도 6.0% 하락했다. 둘 다 2008년12월 이후 최대 폭 감소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산업활동동향 발표와 관련해 "서비스업에서 시작된 위기가 제조업으로 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반도체·자동차 동반 추락
우리 경제를 이끄는 대표 산업인 반도체와 자동차의 생산이 급감했다. 반도체는 글로벌 경기 둔화로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15.6% 생산이 감소했다. 11년4개월 전 -16.9%를 기록한 후 최대 폭 감소다. 자동차 생산은 해외 판매수요 위축으로 인해 공장 가동이 줄어든 여파로 13.4% 줄었다.
김용범 차관은 이날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에서 "4월 산업활동동향에 위기의 심각성이 드러났다"며 "코로나19가 혁신성장 환경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충격 이후 상상도 못했던 수치를 마주하고 있다"고도 했다.제조업 가동률은 68.6%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5.7%포인트 떨어졌다. 하락 폭은 11년4개월만에 최대이며, 가동률 수준은 2009년 2월 66.8% 이후 11년 2개월만에 최저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생산과 공장 가동이 줄면서 제조업 출하도 7.2% 감소했다. 역시 11년4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재고가 늘면서 재고 대비 출하 비율을 뜻하는 재고율은 119.1%를 기록했다. 올해 2월 119.2%에 이어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119%대의 재고율은 외환위기 때였던 1998년 9월(122.9%) 이후 최대 수준이다.
○업계, "유동성 공급 필요해"투자 부문에선 건설이 직격탄을 맞았다. 건설기성과 건설수주가 동반 하락했다. 특히 건설수주는 건축과 토목이 모두 줄어 전년 동월 대비 44.9%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하며 3개월째 증가했지만 2월 16.0%, 3월 10.1%에 비해 증가세가 꺾였다.
이날 자동차산업협회와 반도체산업협회 등 26개 기관이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제3차 산업발전포럼'을 열고 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투자를 늘려야한다는 주장을 한 것도 산업 전반이 큰 위기를 겪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전자통신 50조원, 자동차 32조8000억원, 기계 15조5000억원, 석유화학 2조4000억원, 섬유 4조6000억원 등 5개 업종에서만 105조3000억원의 유동성 애로가 있다"며 "업종별 특별보증규모를 확대하고, 금융사각지대에 놓인 해외현지법인을 위한 특별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건의했다.○서비스업·소매판매 늘었지만 회복은 아직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에 비해 0.5% 증가했다. 숙박음식점, 교육 등 3월에 큰 폭으로 감소했던 업종의 기저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6.1% 줄어들어 서비스업 생산이 회복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포함한 전 산업 생산은 2.5% 감소했다.
소매판매도 전월대비 5.3% 증가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20.0%), 승용차 등 내구재(4.1%), 화장품 등 비내구재(1.6%) 판매가 모두 늘었다. 하지만 통계청은 이 역시 2018년 2월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외환위기 이후 22년1개월만에 최저치다. 통계청은 취업자 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경제심리지수, 코스피 등이 감소해 전월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동향심의관은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는 5월 이후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책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지만 제조업 부문 영향은 해외의 코로나19 확산 등 불확실성이 높아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