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학년 등교수업앞 코로나19 확산 '불안'…"방역·관리 철저히"
입력
수정
27∼30일 사흘간 확진자 216명…무증상 '깜깜이' 환자도 증가
정부, 쿠팡물류센터발 감염확산 차단 총력…수도권 방역 강화
전문가들 "선제적 조치 필요…감염 고위험시설 관리 강화해야"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8일 79명을 정점으로 29일 58명, 30일 39명으로 다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으나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의견이다.
실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는 2천600만명이 밀집해 있고 의료기관이나 상업시설 등 주요 기관·시설이 모여 있어 언제 어디서 추가 확진자가 나올지 모르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이 내달 14일까지 수도권에 한해 한층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하는 것도 이런 위험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3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7일부터 신규 확진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30일까지 4일간 총 21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직전 4일(23∼26일)간 신규 확진자 83명의 2.6배 수준이다.
최근 며칠간 신규 확진자가 급증한 것은 경기도 부천 쿠팡물류센터에서 비롯된 집단감염의 영향이 크다.쿠팡물류센터 관련 확진자는 전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108명으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47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인천 42명, 서울 19명이다.
방역당국의 전날 환자통계 발표 이후로도 부천에서 1명이 추가로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는 등 확진자 규모는 당분간 계속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특히 감염경로를 모르는 이른바 '깜깜이' 확진자 비율이 높아지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이달 16일 0시부터 전날 0시까지 신고된 확진자 404명 가운데 여전히 감염경로 조사가 진행 중인 경우는 30명으로 전체의 7.4%에 달한다.
다중이용시설 운영이 자제된, 즉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이던 4월 22일∼5월 6일 2주간은 이 수치가 6.3%(확진자 112명 중 7명)였고, 이후 4월 29일∼5월 13일 2주 동안은 4%(확진자 201명 중 8명)로 떨어졌었다.이런 상황에서 다음 달 3일에는 고1·중2·초3∼4학년이, 8일에는 중1, 초5∼6학년까지 등교수업 대열에 합류하면서 전체적으로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더욱이 부산에서 등교수업을 한 고등학교 3학년 1명이 최근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학부모, 방역당국, 교육당국 모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단감염은 자칫 대규모 확산의 '불씨'가 될 수 있는 만큼 다방면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생활속 거리두기(생활방역) 체계 전환 당시 기준이 '일평균 신규 확진자 50명 이하', '감염경로 미확인 사례 5% 이내'였는데, 현재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5%를 넘어섰고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을 넘은 날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활방역 지침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에 관리자를 두고 방역을 책임지도록 하고 있는데,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을 보면) 이런 조치가 현장에서는 제대로 실행이 잘 안 되고 있다는 방증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교수는 "확진자가 크게 늘면 지역사회 감염이 학교 내 감염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서 "유흥시설과 콜센터, 물류센터처럼 밀집도와 밀폐도가 높은 감염 고위험 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앞으로 2주가 수도권 감염의 확산이냐 억제냐를 가르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전파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내달 14일까지 박물관을 비롯한 수도권 공공 다중시설의 운영을 한시적으로 중단했으며, 수도권 학원·PC방·노래연습장 등의 영업 자제도 권고했다.
이와 관련해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관련 브리핑에서 "감염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준하는 조처를 부분적으로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생활속 거리두기를 실천하지 못하는, 또 실천할 수 없는 시설이나 장소는 사실상 장기간 운영 제한이 불가피하지 않냐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정부는 현 생활방역체계로 코로나19 확산세를 막지 못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귀한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
정부, 쿠팡물류센터발 감염확산 차단 총력…수도권 방역 강화
전문가들 "선제적 조치 필요…감염 고위험시설 관리 강화해야"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8일 79명을 정점으로 29일 58명, 30일 39명으로 다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으나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의견이다.
실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는 2천600만명이 밀집해 있고 의료기관이나 상업시설 등 주요 기관·시설이 모여 있어 언제 어디서 추가 확진자가 나올지 모르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이 내달 14일까지 수도권에 한해 한층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하는 것도 이런 위험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3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7일부터 신규 확진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30일까지 4일간 총 21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직전 4일(23∼26일)간 신규 확진자 83명의 2.6배 수준이다.
최근 며칠간 신규 확진자가 급증한 것은 경기도 부천 쿠팡물류센터에서 비롯된 집단감염의 영향이 크다.쿠팡물류센터 관련 확진자는 전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108명으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47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인천 42명, 서울 19명이다.
방역당국의 전날 환자통계 발표 이후로도 부천에서 1명이 추가로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는 등 확진자 규모는 당분간 계속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특히 감염경로를 모르는 이른바 '깜깜이' 확진자 비율이 높아지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이달 16일 0시부터 전날 0시까지 신고된 확진자 404명 가운데 여전히 감염경로 조사가 진행 중인 경우는 30명으로 전체의 7.4%에 달한다.
다중이용시설 운영이 자제된, 즉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이던 4월 22일∼5월 6일 2주간은 이 수치가 6.3%(확진자 112명 중 7명)였고, 이후 4월 29일∼5월 13일 2주 동안은 4%(확진자 201명 중 8명)로 떨어졌었다.이런 상황에서 다음 달 3일에는 고1·중2·초3∼4학년이, 8일에는 중1, 초5∼6학년까지 등교수업 대열에 합류하면서 전체적으로 불안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더욱이 부산에서 등교수업을 한 고등학교 3학년 1명이 최근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학부모, 방역당국, 교육당국 모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단감염은 자칫 대규모 확산의 '불씨'가 될 수 있는 만큼 다방면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생활속 거리두기(생활방역) 체계 전환 당시 기준이 '일평균 신규 확진자 50명 이하', '감염경로 미확인 사례 5% 이내'였는데, 현재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5%를 넘어섰고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을 넘은 날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활방역 지침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에 관리자를 두고 방역을 책임지도록 하고 있는데, (확진자가 늘어나는 것을 보면) 이런 조치가 현장에서는 제대로 실행이 잘 안 되고 있다는 방증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교수는 "확진자가 크게 늘면 지역사회 감염이 학교 내 감염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서 "유흥시설과 콜센터, 물류센터처럼 밀집도와 밀폐도가 높은 감염 고위험 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앞으로 2주가 수도권 감염의 확산이냐 억제냐를 가르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전파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내달 14일까지 박물관을 비롯한 수도권 공공 다중시설의 운영을 한시적으로 중단했으며, 수도권 학원·PC방·노래연습장 등의 영업 자제도 권고했다.
이와 관련해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관련 브리핑에서 "감염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준하는 조처를 부분적으로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생활속 거리두기를 실천하지 못하는, 또 실천할 수 없는 시설이나 장소는 사실상 장기간 운영 제한이 불가피하지 않냐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정부는 현 생활방역체계로 코로나19 확산세를 막지 못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귀한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