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TV] 위험한 집, 더 위험한 상가
입력
수정
집터뷰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장경영 전문위원
안녕하세요.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모시고 말씀 나누겠습니다. 돈을 막대하게 풀고 있기 때문에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사람들의 관심은 이렇게 많아진 돈이 자산가격을 끌어올릴 거라고 보는데요.
금리가 낮다고 자산가격이 자동적으로 올라가는 건 아닙니다. 주식도 그렇잖아요. 초저금리가 10년 지속됐는데 박스권에서 머물렀고요. 성장이 있어야 자산가격이 올라가는 겁니다.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이 자산가들만 좋았던 세상이거든요. 실물경제는 안 좋아지니까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기관이 코로나 생기기 전부터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을 경고했거든요. IMF가 굉장히 보수적인 기관이잖아요. 한국 외환위기 때 아주 참혹한 구조조정을 압박했던 기관인데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을 봤더니 돈을 풀어놓고 알아서 민간이 하라고 했더니 실물경제가 아니라 자산시장으로 돈이 갔다는 거예요.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건 금리를 낮추는 것밖에 없으니까, 정부의 재정정책은 필요한 데 돈을 직접 쓸 수 있거든요. 자산시장과 실물경제의 불균형이 커지다 보니까 정부가 필요한 데 쓰라는 정신이었거든요. 그럼 앞으로 10년 동안 자산시장만 좋아진다? 이건 저는 사회가 지탱되지 않는다고 봐요.
풀리는 돈만큼 뭔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 힘들다는 게 있고, 또 두 번째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게 결국 물가가 오르는 건데요. 너무 공급이 많은 것 같아요. 공급이 많아서 물가가 못 오르는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제 생각엔 아주 국지적으론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보는데 장기화되진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네이버TV와 유튜브 채널 집코노미TV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획 집코노미 총괄 조성근 디지털라이브부장
진행 장경영 전문위원 촬영 김소희 PD 편집 김윤화 PD
제작 한국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