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 위해 빅데이터 활용 소득부터 파악"
입력
수정
지면A12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장“지금껏 고용 관련 통계는 표본 조사를 통해 추정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앞으로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전수 분석 자료를 제공해 통계 서비스의 질을 높이겠습니다.”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장(사진)이 지난 3월 초 취임한 뒤 처음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경영혁신 추진 전략’을 내놨다. 지난 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다. 그는 “고용 사정을 업종, 지역별로 실시간 파악해 일자리정책 프로그램의 수준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도록 돕겠다”고 했다.나 원장은 고용정보원이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 종사자(특고), 프리랜서 등의 소득 관련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국세청 금융회사 등과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자영업자, 특고, 프리랜서 등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이 더 크다”며 “이들에 대한 전 국민 고용보험 적용은 시기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나 원장은 다만 “수급 자격, 보험료율, 급여액 등 제도 설계를 어떻게 하느냐가 관건”이라며 “이들의 소득과 취업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말했다.
나 원장은 이번 코로나19 위기가 외환위기, 금융위기 때와는 질적으로 다르다고 진단했다. 그는 “기업들은 정부 지원으로 일자리를 우선 유지하고 있지만 기업 밖에 있는 다양한 형태의 취업자들은 고통이 극심하다”고 분석했다. 지난해에는 일자리안정자금, 청년추가고용장려금 등 정부 지원에 힘입어 고용보험 가입자가 매월 50만 명 이상 증가했지만 최근 10만 명대로 내려앉은 점을 예로 들었다. 나 원장은 “특히 한국은 정보기술(IT) 발전으로 영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플랫폼 종사자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번 위기가 이들에게 직격탄”이라고 덧붙였다.
나 원장은 고용서비스 혁신 필요성도 강조했다. 지금은 지역·업종·임금의 세 가지 정보를 단순 매칭하고 있지만 이 방식으로는 미래 일자리 환경을 따라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종석 전문위원 js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