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선 100척' 반격…中에 뺏긴 조선 1위 되찾는다
입력
수정
지면A15
中 업체, 자국 물량으로 1위지만
카타르·러 LNG선 본격 발주하는
하반기엔 한국 '역전 홈런' 유력

9일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은 세계에서 발주된 선박 469만CGT(표준화물선 환산 톤수) 중 절반이 넘는 288만CGT(121척·점유율 62%)를 수주했다. 한국은 90만CGT(32척·19%)를 수주해 2위로 밀렸다. 한국은 2018년 말 연간 수주량 기준으로 7년 만에 세계 1위 자리를 되찾았다가 올해 다시 중국에 선두를 내줬다.

한국 조선업계는 하반기 ‘역전’을 노리고 있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는 지난 1일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 카타르페트롤리엄(QP)과 2027년까지 23조원 규모, 100척 이상의 LNG 운반선 슬롯(배를 만드는 공간) 예약 계약을 맺었다. 조선업계에서는 계약 기간을 감안할 때 하반기 약 15~20척의 본계약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클락슨에 따르면 현재 LNG선은 한 척당 가격이 신조선가(새로 제작하는 선박 가격) 기준 1억8600만달러(약 2200억원)에 달한다. 컨테이너선(1억850만달러), 일반 유조선(4850만달러) 등 중국의 주력 선종보다 훨씬 비싸다. 유조선이 ‘안타’라면 LNG선은 ‘홈런’인 셈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하반기에 카타르를 비롯해 러시아 모잠비크 등의 LNG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 한국의 점유율이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 들어 초대형 유조선(VLCC) 발주가 늘고 있는 것도 한국엔 호재다. VLCC는 한 척당 가격이 9100만달러로 일반 유조선의 두 배에 달해 LNG선처럼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분류된다. 조선업계는 올해 작년보다 두 배 많은 약 70척의 VLCC 발주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세계 VLCC 시장은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이 양분해왔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