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남한은 적' 규정하며 "마주 앉을 일 없다"…연락채널 차단(종합)
입력
수정
북 "죗값 계산 첫 조치로 모든 연락선 차단"…연락사무소·군 통신선 등 단절
"김여정, 대남사업 '적대' 성격으로 전환 강조"…군사도발 우려 커져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 문제를 이유로 9일 모든 남북간 통신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했다. 한동안 끊겼던 판문점 채널이 북한의 평화 제스쳐와 맞물려 2018년 1월 3일 복원된 이후 2년 5개월여만에 남북이 다시 불통 시대를 맞은 것이다.
특히 북한이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등 추가 조치도 예고하고 있어 남북관계가 단절을 넘어 2018년 이전의 대결 구도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6월 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북남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고 알렸다.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전날 대남사업 부서 사업총화회의에서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죗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한 뒤 통신 연락선 완전 차단 지시를 내렸다고 통신은 전했다. 북한은 이날 통일부와 군의 통화 시도에 일절 응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오전 9시와 북한이 채널 차단 시점으로 제시한 정오에 연락사무소 채널로 통화를 시도했지만, 북한이 받지 않았다. 통상 평일 오후 5시에 마감통화가 이뤄졌지만, 정부는 정오 이후 추가로 통화를 시도하지는 않았다.
군도 이날 오전 9시와 오후 4시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북측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역시 응답하지 않았다.
이로써 2018년 7월(서해지구), 8월(동해지구) 순차적으로 완전히 복구된 군 통신선도 2년 만에 다시 단절될 위기에 놓였다. 정부는 연락채널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대응 방안을 고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므로 남북간 합의에 따라 유지되어야 한다"면서 "정부는 남북합의를 준수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통신연락선 폐기가 '첫 단계' 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남조선 당국과 더는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서 "(통신연락선 차단·폐기는)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공간을 완전 격폐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버리기로 결심한 첫 단계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이 대남사업을 적대적 기조로 바꾸고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했다고 밝힘에 따라 추가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여동생인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담화를 통해 전단 살포를 비난하면서 남한 당국이 응분의 조처를 하지 않을 시 연락사무소 폐쇄, 개성공업지구 철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등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북한이 다음 수순으로 남북간 적대행위 중지를 명기한 9·19 군사합의를 파기하고 대남 군사도발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연합뉴스
"김여정, 대남사업 '적대' 성격으로 전환 강조"…군사도발 우려 커져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 문제를 이유로 9일 모든 남북간 통신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했다. 한동안 끊겼던 판문점 채널이 북한의 평화 제스쳐와 맞물려 2018년 1월 3일 복원된 이후 2년 5개월여만에 남북이 다시 불통 시대를 맞은 것이다.
특히 북한이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등 추가 조치도 예고하고 있어 남북관계가 단절을 넘어 2018년 이전의 대결 구도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6월 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북남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고 알렸다.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전날 대남사업 부서 사업총화회의에서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죗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한 뒤 통신 연락선 완전 차단 지시를 내렸다고 통신은 전했다. 북한은 이날 통일부와 군의 통화 시도에 일절 응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오전 9시와 북한이 채널 차단 시점으로 제시한 정오에 연락사무소 채널로 통화를 시도했지만, 북한이 받지 않았다. 통상 평일 오후 5시에 마감통화가 이뤄졌지만, 정부는 정오 이후 추가로 통화를 시도하지는 않았다.
군도 이날 오전 9시와 오후 4시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북측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역시 응답하지 않았다.
이로써 2018년 7월(서해지구), 8월(동해지구) 순차적으로 완전히 복구된 군 통신선도 2년 만에 다시 단절될 위기에 놓였다. 정부는 연락채널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대응 방안을 고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므로 남북간 합의에 따라 유지되어야 한다"면서 "정부는 남북합의를 준수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통신연락선 폐기가 '첫 단계' 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남조선 당국과 더는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서 "(통신연락선 차단·폐기는)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공간을 완전 격폐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버리기로 결심한 첫 단계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이 대남사업을 적대적 기조로 바꾸고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했다고 밝힘에 따라 추가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여동생인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담화를 통해 전단 살포를 비난하면서 남한 당국이 응분의 조처를 하지 않을 시 연락사무소 폐쇄, 개성공업지구 철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등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북한이 다음 수순으로 남북간 적대행위 중지를 명기한 9·19 군사합의를 파기하고 대남 군사도발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