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소외노인 찾아가는 매일유업 김선희 사장 "우유 배달하며 안부 묻고 매출 1%는 기부"
입력
수정
지면A29
매일유업 '우유 안부' 후원 5년째
6일간 캠페인으로 모은 3억 전달
개인 후원자 800명으로 늘어

‘어르신의 안부를 묻는 우유 배달(우유 안부)’은 올해로 18년째다. 2003년 호용한 서울 옥수중앙교회 목사의 작은 아이디어가 씨앗이다. 100가구에서 시작해 사단법인으로 발전했고, 현재 서울 16개 구에서 홀로 사는 노인 2000명에게 매일 우유 한 팩을 보낸다. 어르신들에겐 정서적 지지를 보내고, 사회적으론 ‘고독사 방패막이’가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호 목사의 뜻을 지지하는 우아한형제들, 골드만삭스, 매일유업 등 지금까지 17개 기업과 350여 명의 개인 후원자가 우유 안부를 이끌어왔다.11일 서울 종로 매일유업 본사에서는 호 목사와 김선희 매일유업 사장의 특별한 만남이 있었다. 김 사장은 “6일간 ‘소화가 잘되는 우유’ 캠페인으로 3억원을 모았다”며 “앞으로 ‘소잘우유’의 매출 1%를 매년 기부하겠다”고 말했다.
매일유업은 2016년부터 해마다 1억4000만원을 후원하고 있다. 우아한형제들, 골드만삭스보다는 늦었지만 17개 후원 기업 중 최대 후원자가 됐다. 김 사장은 후원 5년차를 맞아 “더 오래 우유 안부가 지속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다. 기업들의 후원이 끊기더라도 선순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했다. 매일유업이 나서서 일부를 지속적으로 기부하고, 소비자 캠페인으로 개인 후원을 더 끌어모으는 방법을 고민했다.
첫 작품이 지난달 6일 카카오톡을 통해 벌인 ‘소잘우유 체험 패키지’ 캠페인이다. 소비자들이 4000원(우유 한 개 가격 1500원+택배비 2500원)을 내면 우유 12개들이 패키지를 보내줬다. 매일유업은 판매금(1500원)을 전액 기부했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당초 4만 팩을 준비했지만 6일 만에 20만 팩이 팔려나갔다. 이 이벤트엔 기부금(3억원)의 5배(15억원) 비용이 들었다. 그러나 효과는 크다. 매일유업은 새 제품을 홍보했고, 옥수중앙교회는 새 기부자를 모았다. 호 목사는 “이번 캠페인으로 우유 안부의 개인 후원자 수가 800여 명으로 늘었다”며 “어려운 때에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진 것에 감사하다”고 했다.매일유업은 앞으로도 소잘우유 판매금의 1%를 지속적으로 이 사업에 기부할 예정이다. 소잘우유 제품 측면에 “소화가 잘되는 우유 판매 수익금 일부는 ‘어르신의 안부를 묻는 우유배달’을 후원하는 데 사용됩니다”라는 문구를 넣었다. 서울영업소의 ‘영업왕’으로 통하던 직원을 본사로 발령내고 우유 안부가 매일 잘 운영되는지 전담해 관리하도록 했다. 김 사장은 “매일유업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우유 배달)로 사회와 기업과 소외된 이웃이 모두 즐거운 사회공헌 모델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