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 레슨·인스타툰·브이로그까지…2030변호사들의 남다른 '생존법'
입력
수정

지난 13일 오후 서울 청담동의 한 로펌 사무실에 '리그오브레전드(LOL)' 코치들이 모였다. LOL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e스포츠 게임 종목. 젊은 20~30대 변호사들이 한 공간에 모여 LOL 프로게임단 소속 코치가 지시하는 대로 LOL 게임 화면을 누비고 있었다.
“부족한 ‘스킬’을 익히기 위해 코치를 초빙했습니다.” 법무법인 비트의 송도영 파트너 변호사의 얘기다. 이날 '원포인트' 레슨은 한 시간 반 가량 이어졌다.
변호사 3만명 시대. 무한경쟁이 벌어지는 법률시장에서 개성을 뽐내는 젊은 변호사들이 등장하고 있다. 젊은층이 즐겨하는 게임 기술을 연마하거나 인스타그램에 사건과 사연을 소개하는 웹툰을 올리고, 변호사의 업무와 일상을 보여주는 '브이로그'를 찍는 등 각양각색의 '개인기'를 앞세워 각자의 영역을 넓히는 중이다.
◆권위 대신 '게임' 통해 친근한 변호사로
법무법인 비트의 사무실 한편엔 최고급 사양의 컴퓨터 5대가 마련돼있다. PC방에서나 볼 수 있는 게이밍 전용 키보드와 의자도 갖췄다. 이 곳을 찾는 고객들은 주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및 정보기술(IT) 분야 종사자들. 대학생부터 30~40대로 비교적 '젊은' 사람들이 많다.
변호사들이 나서서 '게임방'을 꾸민 건 2여년 전부터다. 온라인 게임을 통해 함께 일하는 변호사들끼리 화합을 다지는 것은 물론, 젊은 의뢰인들을 대상으로 영업에도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송도영 변호사는 "스타트업 업계에 종사하는 고객들과는 술 한잔보다는 LOL 게임 한 판을 하는 게 더 낫다"며 "상대방 팀 공격을 대신 맞아주거나 아이템을 주고 받다보면 자연스럽게 친해진다"며 웃었다.
이같은 시도는 대표인 최성호 변호사의 전폭적인 지지 덕분이기도 했다. 최 변호사는 서울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이공계 출신 법조인이다. 대학 재학 시절, 프로그래머가 되기를 꿈꿨을 정도로 '게임덕후'였다. 로펌 구성원 대다수를 차지하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호응도 한 몫 했다. '사법고시'를 치룬 최 변호사와 송 변호사를 제외한 나머지 8명은 모두 로스쿨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시험을 통과한 20~30대 변호사들이다. 밤을 지새우는 회식보다는 온라인 게임이 더 익숙한 세대다. 송 변호사는 "LOL 게임을 다함께 즐기는 건 변하는 시대상에 적응하고, '꼰대'가 되지 않기 위한 노력"이라고 말했다.

이혼 사건을 주로 다루는 최유나 변호사는 '인스타툰(인스타그램+웹툰)'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 이름을 알린 경우다. 10~30대가 많이 사용하는 사진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인스타그램에 만화를 올리고 있다. 최 변호사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사건들을 각색해, 누구나 공감할 만한 결혼 생활의 어려움을 친근한 그림체로 풀어냈다. 고부갈등, 육아문제, 불륜 등 주제도 다양하다.
최 변호사가 2018년 9월 첫 게시물을 올린 후 약 2년 만에 팔로워는 19만명을 넘어섰다. 만화를 한데 모은 책《우리 이만 헤어져요》는 1만권 넘게 팔리며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최 변호사는 "만화의 내용에 공감해 댓글로 개인사를 공유해주는 사람들도 많다"며 "결혼 생활에 어려움을 겪은 20~30대 의뢰인들이 만화를 보고 찾아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김지수 변호사의 채널을 구독하는 사람은 14만여명에 달한다. 김 변호사의 팬들은 '가재'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변호사 유튜버인만큼 악플이 없어 '댓글창이 가재가 살 정도로 깨끗하다'는 의미에서 비롯됐다. 김 변호사는 지난 14일 온라인 게임 'GTA'에서 이들을 만나 함께 게임을 즐기는 팬미팅을 열기도 했다.
안효주/이인혁 기자 j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