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양제츠, 하와이서 비공개 회담… 미중 관계 회복하나
입력
수정
오는 17일 미국 하와이에서 미국과 중국 양국이 비공개로 고위급 회담을 연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고조하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만남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현지시간 15일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오는 17일 하와이에서 대면 협상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최근 이 같은 회담을 추측하는 언론 보도가 있었으나, 구체적인 시기를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회담 전망을 묻는 말에 "중국과 미국은 외교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했다.
AP통신도 현지시간 16일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이 16~17일 하와이에 머물 것이라면서 양제츠 정치국원이 이끄는 중국 대표단을 17일 만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이번 비공개 회담은 호놀룰루의 히캄 공군기지에서 열리고, 양국을 충돌하게 한 광범위한 사안을 다룰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무역,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 대처, 홍콩의 지위, 남중국해와 관련한 중국의 주장 등을 놓고 불화하는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AP는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겸직한 비건 부장관의 참석은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과 외교적 노력이 교착 상태에 처한 것도 의제가 될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이번 회담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양국 고위급 인사 간 첫 대면 협상 자리가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 3월 각각 한 차례씩 전화 통화를 했다. 폼페이오 장관과 양제츠 정치국원도 지난 4월 통화를 갖고 코로나19 대응 공조 의지를 확인했다.
하지만 양국 고위급의 직접 대면은 지난 1월 중순 트럼프 대통령과 류허 중국 부총리가 백악관에서 만나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했을 때가 사실상 마지막이다. 이후 코로나19 확산 책임론을 비롯해 홍콩보안법, 대만해협 및 남중국해 문제, 미국 내 시위 등이 불거지면서 양국 관계는 악화 일로를 걷는 중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의 류샹 연구원은 "중국과 갈등이 계속 고조하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전략에도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양측이 이번 회담에서 짧은 성명이나마 양국 관계에 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면 이는 바람직할 것"이라고 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현지시간 15일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오는 17일 하와이에서 대면 협상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최근 이 같은 회담을 추측하는 언론 보도가 있었으나, 구체적인 시기를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회담 전망을 묻는 말에 "중국과 미국은 외교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했다.
AP통신도 현지시간 16일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이 16~17일 하와이에 머물 것이라면서 양제츠 정치국원이 이끄는 중국 대표단을 17일 만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이번 비공개 회담은 호놀룰루의 히캄 공군기지에서 열리고, 양국을 충돌하게 한 광범위한 사안을 다룰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무역,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 대처, 홍콩의 지위, 남중국해와 관련한 중국의 주장 등을 놓고 불화하는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AP는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겸직한 비건 부장관의 참석은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과 외교적 노력이 교착 상태에 처한 것도 의제가 될 것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이번 회담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양국 고위급 인사 간 첫 대면 협상 자리가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 3월 각각 한 차례씩 전화 통화를 했다. 폼페이오 장관과 양제츠 정치국원도 지난 4월 통화를 갖고 코로나19 대응 공조 의지를 확인했다.
하지만 양국 고위급의 직접 대면은 지난 1월 중순 트럼프 대통령과 류허 중국 부총리가 백악관에서 만나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했을 때가 사실상 마지막이다. 이후 코로나19 확산 책임론을 비롯해 홍콩보안법, 대만해협 및 남중국해 문제, 미국 내 시위 등이 불거지면서 양국 관계는 악화 일로를 걷는 중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의 류샹 연구원은 "중국과 갈등이 계속 고조하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전략에도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양측이 이번 회담에서 짧은 성명이나마 양국 관계에 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면 이는 바람직할 것"이라고 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