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충돌로 수십명 사망…중국·인도 군사력 비교해보니
입력
수정
인도서 "중국에 군사 보복하라" 여론 비등인도와 중국의 군사 충돌로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가운데 양국 국경에서 갈수록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세계 1,2위 인구 대국 간 의도치 않은 국지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1962년 전쟁 땐 중국의 일방적 승리로 종결
중국 국방비, 인도 3배…핵전력도 크게 앞서
인도 육군은 16일(현지시간) 중국과의 국경 지역인 라다크지역 갈완계곡에서 중국군과 충돌해 군인 20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중상자가 4명 있어 사망자가 추가될 수 있다.중국은 언론을 통제하고 있어 정확한 사망·부상자 숫자를 알 수 없지만 최소 5명이 사망했을 것이란 보도가 나온다. 관변 매체인 환구시보의 후시진 편집장은 이와 관련 “중국군에서도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했다.
이번 충돌 과정에서 두 진영 간 총격전은 없었다. 양쪽 군인들은 주먹질 등 난투극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군인들이 충돌해 사망자가 발생한 건 1975년 이후 45년 만이다.
인도와 중국은 수 차례 국경 분쟁을 벌여왔다. 1962년 전쟁까지 치렀으나 정확한 국경을 확정하지 못한 채 지금까지 갈등을 이어왔다. 두 나라 간 국경은 총 3488km에 달하는 실질통제선(LAC)이 대체하고 있다.이번 충돌에서 중국보다 훨씬 큰 피해를 입은 인도에선 “즉각 보복하라”는 여론이 거세다. 인도인들은 트위터 등에 “인도는 1962년의 약한 나라가 아니라 군사 강국이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약할 뿐이다. 즉각 행동에 나서라.”는 글을 띄우고 있다.하지만 군사력 면에서 인도와 중국은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스웨덴 정부의 싱크탱크인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각 국 국방비 지출을 분석한 결과 작년 기준 인도는 총 711억2550만달러의 국방비를 썼다. 전체 국가 예산 대비 8.8%로 파악됐다.
중국은 전체 예산의 5.4%만 배정했는데도 인도 대비 3배 이상 많은 2610억8200만달러의 국방비를 지출했다. 두 나라 간 경제력의 차이가 이 처럼 큰 국방비 격차를 불러왔다는 분석이다.전체 병력 수는 인도(350만 명)가 중국(270만 명)보다 많다. 하지만 현대전의 핵심인 공군 및 해군력에서 중국이 인도를 압도한다. 인도 전투기는 538대인 반면 중국 전투기는 총 1232대에 달한다. (참고로 한국의 국방비는 438억9100만달러(예산의 12.1%)로, 일본(476억900만달러, 예산 대비 2.5%)보다 소폭 적다. 미국의 국방비는 7317억5100만달러(예산의 9.4%)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핵무기 수에서도 차이가 난다. SIPRI에 따르면 인도의 핵탄두는 작년 기준 총 130~140개로 추정됐다. 중국의 공식 핵탄두 숫자(290개) 대비 절반 이하다.
현재 전 세계에서 미국 등 9개 국이 총 1만3865개의 핵탄두를 보유 중이다. 러시아가 6500개로 가장 많으며, 미국(6185개) 프랑스(300개) 영국(200개) 파키스탄(150~160개) 이스라엘(80~90개) 북한(20~30개) 등이다. 인도와 중국 간 1962년 전쟁도 국경 분쟁이 계기가 됐다. 발단은 티베트의 지도자 달라이 라마 14세의 인도 망명이었다. 달라이 라마는 중국 탄압을 피해 네루 총리가 정권을 잡은 인도에 망명 정부를 세웠고, 이후 갈등이 격화한 두 나라 국경에서 소규모 총격전이 빈발했다.
수 만명의 군인이 동원된 본격적인 전쟁 초기만 해도 서방 군사 전문가들은 인도 우세를 점쳤다. 옛 소련의 군사 고문단이 인도에 상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중국의 일방적인 승리로 싱겁게 끝났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해발 5000m 고도에 위치한 인도의 레장 라 진지를 점령한 뒤 휴전을 선포하고 전쟁을 끝내 버렸다. 중국이 중일전쟁, 국공내전, 한국전쟁 등을 거치며 실전 경험을 쌓았던 게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시 중국이 일방적으로 휴전을 선포했던 건 미국과 소련의 군사 개입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이번 인도와 중국 간 군사 충돌이 전면전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외교·안보 싱크탱크 우드로윌슨센터의 남아시아 전문가 마이클 쿠겔먼은 “양국이 이번 충돌을 계기로 전쟁으로 나아가진 않을 것”이라며 “양국 모두 갈등을 감당할 형편이 안 된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