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문장을 비트는 '서술어 3종 세트'
입력
수정
지면S18
상투적으로 쓰는 한자어를 버려야 우리말다움이 살아난다.“코로나19로 인한 한국 경제의 충격이 ‘심화되고’ 있다.” “A씨는 이천병원에서 검사를 ‘진행해’ 16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남구보건소에서는 희망자에게 코로나19 선별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코로나19 기사에 투영된,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들이다. ‘심화되다’ ‘진행하다’ ‘실시하다’는 서술어로 흔히 쓰인다. 하지만 잘못 쓰면 어색할 때가 많다.
'실시(實施)'도 그중 하나다. 대개 '~하다'라고 하면 되는데
습관적으로 '~을 실시하다'라고 쓴다.
‘심화/실시/진행하다’ 등 어색한 표현 많아글쓰기에 왕도는 따로 없다. ‘간결하게, 일상적 언어로 쉽게 쓰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다. 예문에서는 무거운 한자어를 가져다 썼다. 말할 때는 그리 하지 않는데 글로 쓸 때면 무의식적으로 나온다.
우선 ‘심화하다(되다)’부터 보자. “반도체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스마트폰 사업 의존도가 심화된 탓이다.” “××의 ‘갑질’이 점점 심화되는 추세다.” 우리말답게 쓸 때 글의 흐름이 자연스러워진다. 요령은 어울리는 본래 서술어를 찾아 쓰는 것이다. ‘심화’는 ‘정도가 깊어짐’이다. 그러니 반도체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게 아니라 ‘깊어지는’ 것이다. 의존도 역시 ‘심화된’ 것이라기보다 ‘높아진(또는 커진)’이라고 하면 그만이다. 이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바꿔 ‘스마트폰 사업에 지나치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식으로 쓰면 글의 리듬이 살아나 더 좋다. 갑질도 ‘심화된다’고 하면 어색하고 ‘심해진다’(정도가 지나치다는 뜻)라고 하면 그만이다.
‘진행하다’는 좀 특이한 단어다. “캠페인(이벤트 또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식으로 외래어와 어울려 많이 쓰인다는 점에서 그렇다. 예를 들어보자. “××은행은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회사는 2년 전부터 CNC(컴퓨터 수치제어) 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다.” 이벤트는 ‘행사’이므로 ‘열다/치르다/벌이다/마련하다’ 등의 서술어와 어울린다. 문맥에 따라 적절한 말을 골라 쓰면 된다. ‘프로그램을 마련한다(운영한다/개설한다)’ ‘캠페인을 벌인다(펼친다)’ 등 쓸 수 있는 우리 고유의 말이 많다. 의미가 분명해지고 말맛도 살아난다.‘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다’도 생뚱맞은 표현이다. 곧바로 ‘기술을 개발해 왔다’라고 해야 할 곳이다. 이 문구는 특이한 점이 있는데, 습관적으로 ‘명사+을 진행하다’ 꼴로 쓴다는 점이다. 대부분 ‘진행’을 빼고 ‘명사+하다’ 동사로 바꿔 쓸 수 있다. 가령 ‘협상을 진행하다/공사를 진행하다/수술을 진행하다’라고 하지 말고, ‘협상하다/공사하다/수술하다’로 쓰면 충분하다.
고유어 찾아 쓰면 자연스럽고 말맛도 살아
상투적으로 쓰는 한자어를 버려야 우리말다움이 살아난다. ‘실시(實施)’도 그중 하나다. 대개 ‘~하다’라고 하면 되는데 습관적으로 ‘~을 실시하다’라고 쓴다. ‘작전을 실시했다’라기보다 ‘작전을 짜다/세우다/펼치다/벌이다’ 따위로 쓰는 게 자연스럽다. ‘투표를 실시하다’는 ‘투표하다’로 쓰면 그만이다. ‘실시’를 넣지 않고도 얼마든지 쓸 수 있다. ‘캠페인을 실시했다’는 어색하고 ‘캠페인을 벌였다’가 제격이다. ‘시험’은 ‘치르다’와 잘 어울린다. ‘졸업 시험을 실시했다’라고 하지 말고 ‘치렀다’라고 해보자.‘施’는 ‘베풀 시’다. 어원적으로 깃발을 중심으로 사람을 모아놓고 정령을 공포하거나 정책을 알리는 모습을 그린 글자다(하영삼, 《한자어원사전》). 그래서 ‘실시’ ‘시행’이란 말에는 은연중 ‘관에서 베푸는’이라는 개념이 담겨 있다. 정부 보도자료 등 이른바 ‘관급(官給) 용어’에 이 말이 자주 쓰이는 까닭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