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남북관계 난관 속 볼턴 주장에 서둘러 선긋기
입력
수정
'볼턴 일방적 주장, 문대통령 노력 폄훼' 판단한 듯
사실관계 왜곡에 한미동맹 근간 훼손까지도 우려청와대가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 내용에 강하게 반발했다.남북미 정상 사이에 이뤄진 비핵화 과정을 두고 일방적 주장을 담은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이 가져올 후폭풍을 방관할 수만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2일 브리핑에서 회고록을 두고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한미 정상 간 협의를 자신의 편견을 바탕으로 왜곡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볼턴 전 보좌관의 카운터파트였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도 "상당 부분 사실을 크게 왜곡했다"며 "외교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이런 입장은 무엇보다 회고록 속에 담긴 내용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한 문 대통령의 노력을 심각하게 폄훼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지난해 판문점에서의 남북미 정상회동 후 북미정상회담을 제안한 문 대통령의 생각을 '사진 찍기용'으로 규정해버렸다.
남측이 제안한 종전선언 구상을 북한이 신경 쓰지 않았다고 적었고, 영변 핵시설 해체 의지를 비핵화의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본 문 대통령의 판단을 '정신분열적'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청와대 안에는 지난해 판문점 남북미 정상회동 당시 볼턴 전 보좌관이 몽골에 갔던 것을 두고 '그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신뢰의 정도를 보여준다'며 회고록 내용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처럼 지금은 현직을 떠난 볼턴 전 보좌관의 주장에 일일이 대응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으나, 청와대는 이를 방치했을 때 회고록의 내용이 진실이 돼버리는 상황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으로 남북 간 긴장이 고조하는 시점이라는 점도 조기 대응의 배경으로 분석된다.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남북 핫라인이 가동되지 않는다'고 했다는 대목 등은 남북 관계에도 분명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대화 기조를 포기하지 않은 문 대통령으로서는 사실상 원점부터 북한과의 신뢰를 복원해야 하는 난관을 맞닥뜨린 만큼 제3자인 볼턴 전 보좌관의 정제되지 않은 주장에는 확실하게 선을 긋고자 했을 수 있다.
아울러 장기적 관점에서 비핵화를 비롯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한미동맹이 필수적인 만큼 양국의 신뢰를 훼손하는 같은 종류의 행태가 반복돼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연합뉴스
사실관계 왜곡에 한미동맹 근간 훼손까지도 우려청와대가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 내용에 강하게 반발했다.남북미 정상 사이에 이뤄진 비핵화 과정을 두고 일방적 주장을 담은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이 가져올 후폭풍을 방관할 수만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2일 브리핑에서 회고록을 두고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한미 정상 간 협의를 자신의 편견을 바탕으로 왜곡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볼턴 전 보좌관의 카운터파트였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도 "상당 부분 사실을 크게 왜곡했다"며 "외교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이런 입장은 무엇보다 회고록 속에 담긴 내용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한 문 대통령의 노력을 심각하게 폄훼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지난해 판문점에서의 남북미 정상회동 후 북미정상회담을 제안한 문 대통령의 생각을 '사진 찍기용'으로 규정해버렸다.
남측이 제안한 종전선언 구상을 북한이 신경 쓰지 않았다고 적었고, 영변 핵시설 해체 의지를 비핵화의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본 문 대통령의 판단을 '정신분열적'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청와대 안에는 지난해 판문점 남북미 정상회동 당시 볼턴 전 보좌관이 몽골에 갔던 것을 두고 '그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신뢰의 정도를 보여준다'며 회고록 내용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처럼 지금은 현직을 떠난 볼턴 전 보좌관의 주장에 일일이 대응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으나, 청와대는 이를 방치했을 때 회고록의 내용이 진실이 돼버리는 상황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으로 남북 간 긴장이 고조하는 시점이라는 점도 조기 대응의 배경으로 분석된다.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남북 핫라인이 가동되지 않는다'고 했다는 대목 등은 남북 관계에도 분명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대화 기조를 포기하지 않은 문 대통령으로서는 사실상 원점부터 북한과의 신뢰를 복원해야 하는 난관을 맞닥뜨린 만큼 제3자인 볼턴 전 보좌관의 정제되지 않은 주장에는 확실하게 선을 긋고자 했을 수 있다.
아울러 장기적 관점에서 비핵화를 비롯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한미동맹이 필수적인 만큼 양국의 신뢰를 훼손하는 같은 종류의 행태가 반복돼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