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만 미수습 전사자, 마지막 한명까지 국가가 책임"[한국전쟁 70주년]
입력
수정
지면A33
[한국전쟁 70주년 기획 인터뷰-참전자의 기억⑤·끝]“아직 12만3000여 명의 6·25전쟁 전사자가 유해도 수습되지 못한 채 전장(戰場)에 남아 계십니다. 나라를 위해 싸우다 산화(散花)한 모든 분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때까지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습니다.”
허욱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20년간 유해 1만구 발굴했지만
아직도 12만3000명 찾지 못해
가족 품에 안긴 유해 142구뿐
"유가족은 보건소서 DNA 채취를"
허욱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57·사진)은 6·25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최근 한국경제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6·25전쟁 유해발굴 사업은 국가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국책사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1월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허 단장은 현역 시절에도 국방부 유해발굴정책지원 태스크포스(TF)장 등을 맡아 유해발굴 사업에 깊숙이 참여했다.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2000년에 전쟁 발발 50주년을 맞이해 처음 시작됐다. 이후 국민적 성원에 힘입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2007년 국방부 산하 유해발굴감식단이 창설됐다. 이 덕분에 지난 20년간 약 1만 구의 국군 전사자 유해를 수습할 수 있었다. 병사 및 전문가 등 연인원 10만 명의 인력을 투입해 이뤄낸 성과다.
하지만 허 단장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그는 “유가족 대부분이 70~90대 고령의 나이에 접어든 가운데 아직 12만3000여 명의 유해가 땅속에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유해를 발굴해낼 수 있는 인력과 조직 운영 방법이 무엇인지 아직도 고민이 많다”고 했다.
허 단장은 “흔히 화살머리고지 등 최전방에서만 유해 발굴이 이뤄지는 것으로 착각하는 분들이 많다”며 “유해 발굴은 전국 각지에서 병사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이뤄낸 성과라는 점을 알아달라”고 했다. 그는 “전쟁 당시 낙동강 지역까지 국군이 밀리기도 하고, 인천상륙작전 과정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하는 등 크고 작은 전투가 전국에서 이뤄졌다”며 “대한민국 전 지역이 발굴 대상인 만큼 인근 지역에서 유해를 발견하면 꼭 유해발굴감식단에 신고해달라”고 말했다.어렵게 유해를 발굴해도 1%에 불과한 신원 확인율 역시 문제로 꼽힌다. 국방부가 지난 20년간 발굴해낸 1만여 구의 유해 가운데 가족 품에 안긴 유해는 24일 현재 142구에 불과하다.
허 단장은 “전사자 신원 확인을 위해선 유가족 DNA 시료 채취가 필수적인데 아직 DNA 시료 채취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는 유가족 어르신도 많다”며 “전국 보건소에서 전사자 유해 확인을 위한 DNA 시료 채취를 무료로 진행하고 있으니 유해를 찾고픈 가족은 언제든 보건소를 방문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유가족은 1577-5625로 전화하면 유해발굴감식단에서 자택으로 찾아간다”며 “유가족들께서도 포기하지 말고 전사자 신원 확인 및 송환을 위한 DNA 시료 채취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글=정의진/사진=김영우 기자 justjin@hankyung.com
[한국전쟁 70주년 기획 인터뷰-참전자의 기억]
① "가슴 속 실탄 박힌 채 70년…학도병 참전 후회 없다"
② 군번도 총도 없이 싸운 女軍 "살려면 돌이라도 들어야지"
③ 인민군 탈영후 국군 입대…"오로지 고향 땅 밟기 위해 싸웠다"
④ 전투기에 폭탄 달던 중학생 "그 시절 누구든 싸워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