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巨與 믿고 '플랫폼 규제' 칼 들었나
입력
수정
지면A8
지난달 이후 강공 드라이브플랫폼산업을 바라보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시각이 갈수록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공정위는 플랫폼산업 규제에 신중한 입장이었지만, 최근 분위기가 완전히 반전됐다. 그만큼 관련 기업에 대한 규제 강도는 세질 전망이다.
TF 등 의견수렴 장치도 없어
일각 "김상조 靑 실장과도 교감"
공정위 내 기류 변화는 한 달 전 발표한 ‘플랫폼업체 간 경쟁에 대한 심사지침 제정 방침’과 25일 공개한 ‘플랫폼산업 규제안’을 대비하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공정위는 지난달 새로운 법 제정 및 개정 없이 기존 법을 토대로 내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각계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다.하지만 공정위는 이날 지침이 아닌 신규 법 제정 등을 통해 플랫폼산업을 규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각계 인사가 참여하는 TF 등 중립적인 의견 수렴 조직도 구성하지 않았다. 플랫폼업계 관계자는 “최소한의 의견 수렴 장치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공정위가 확연히 공격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의 공개 발언을 통해서도 공정위의 시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조 위원장은 지난해 11월 언론 인터뷰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인 ‘타다’는 혁신적 모습과 새로운 서비스로 시장의 경쟁을 불러일으킨다는 측면이 있다”며 “(시장 경쟁을 촉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정위의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분명히 플러스(+)”라고 평가했다. 한발 더 나아가 “공정위가 보다 일찍 (긍정적이라는) 입장을 밝혔어야 했다”며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수장을 맡던 시절의 공정위를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이랬던 조 위원장이 지난달 한 강연에서는 다른 얘기를 했다. 그는 “플랫폼 사업자들은 기본적으로 독점시장을 조성하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며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탄생한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이 신규 경쟁자를 제거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일각에서는 조 위원장과 공정위 내부의 기류 변화가 김 실장 등 청와대 관계자들과의 교감 속에서 이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지금도 공정위 일부 조직은 김 실장과 업무보고를 한다”며 “주요 정책 방향 결정 과정에서 김 실장과 협의를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전했다.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여당의 총선 압승을 등에 업고 그동안 처리하지 못했던 기업 규제 법안들을 모두 통과시키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