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세 미만 어린이, 날 음식 먹이지 마세요" 서울대병원 의사의 당부
입력
수정
용혈성 요독증후군 집단 감염으로 어린 아이들이 투석 치료까지 받는다는 소식에 걱정하는 사람이 늘었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으로 인한 용혈성 요독증후군은 적절히 치료받지 않으면 사망까지 이를 위험이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하일수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의료 기술 발전으로 소아도 투석 등 신대체요법(신장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치료)이 가능해 위험한 급성기를 넘기면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된다"고 했다. 그는 "문제는 국내에 소아 신대체요법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이 많지 않아 병원을 찾아다니다가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이라며 "소아 신부전의 희소성과 턱없이 낮은 소아 투석 수가에 기인하는 문제로 앞으로 우리가 꼭 풀어야 할 숙제"라고 했다.투석을 할 정도로 심한 급성 신장 손상이 생긴 어린이는 초기에 회복해도 다시 증상이 나빠져 만성 콩팥병이 될 위험이 있다. 급성 신장 손상을 심하게 앓은 어린이는 회복돼도 수년 넘게 오랜 기간 소아신장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용혈성 요독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아이들 음식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10세 미만 어린이는 날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생선회와 육회 종류는 피하고 음식을 구워 먹을 때도 다진 고기는 속까지 완전히 잘 익었는지 확인하고 먹도록 해야 한다.
용혈성 요독증후군은 1980년대 완전히 익히지 않은 햄버거를 먹은 뒤 집단감염을 일으켜 유명해졌다. 하지만 햄버거만 이 병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오염된 칼과 도마로 조리한 야채나 과일도 위험할 수 있다. 주방 기구를 청결히 관리해야 한다. 어린이에게 끓이지 않거나 정수되지 않은 물, 약수 등 오염 가능성 있는 물을 주는 것은 피해야 한다.10세 미만 어린이가 있는 집에서는 모든 식구가 함께 조심해야 한다. 하 교수는 "이들 가정에서는 어린아이를 기준으로 음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단체 급식을 할 때도 10세 미만 어린이 급식은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하 교수는 아이들에 맞는 지침도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음식 문화는 나라마다 다르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국내 어린이에 맞는 자세한 지침을 마련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하일수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의료 기술 발전으로 소아도 투석 등 신대체요법(신장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치료)이 가능해 위험한 급성기를 넘기면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된다"고 했다. 그는 "문제는 국내에 소아 신대체요법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이 많지 않아 병원을 찾아다니다가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이라며 "소아 신부전의 희소성과 턱없이 낮은 소아 투석 수가에 기인하는 문제로 앞으로 우리가 꼭 풀어야 할 숙제"라고 했다.투석을 할 정도로 심한 급성 신장 손상이 생긴 어린이는 초기에 회복해도 다시 증상이 나빠져 만성 콩팥병이 될 위험이 있다. 급성 신장 손상을 심하게 앓은 어린이는 회복돼도 수년 넘게 오랜 기간 소아신장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용혈성 요독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아이들 음식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10세 미만 어린이는 날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생선회와 육회 종류는 피하고 음식을 구워 먹을 때도 다진 고기는 속까지 완전히 잘 익었는지 확인하고 먹도록 해야 한다.
용혈성 요독증후군은 1980년대 완전히 익히지 않은 햄버거를 먹은 뒤 집단감염을 일으켜 유명해졌다. 하지만 햄버거만 이 병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오염된 칼과 도마로 조리한 야채나 과일도 위험할 수 있다. 주방 기구를 청결히 관리해야 한다. 어린이에게 끓이지 않거나 정수되지 않은 물, 약수 등 오염 가능성 있는 물을 주는 것은 피해야 한다.10세 미만 어린이가 있는 집에서는 모든 식구가 함께 조심해야 한다. 하 교수는 "이들 가정에서는 어린아이를 기준으로 음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단체 급식을 할 때도 10세 미만 어린이 급식은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하 교수는 아이들에 맞는 지침도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음식 문화는 나라마다 다르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국내 어린이에 맞는 자세한 지침을 마련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