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양산 25년…20분 충전에 서울~부산 달린다
입력
수정
지면S5
성큼 다가온 전기차 시대1회 충전에 500㎞ 이상 주행할 수 있는 ‘3세대 전기차’는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앞당길 ‘게임 체인저(판도를 바꾸는 결정적 요인)’로 꼽힌다. 3세대 전기차는 서울에서 부산까지(456㎞) 충전 없이 한 번에 달릴 수 있다. 가솔린(휘발유)과 디젤(경유) 등 화석연료를 쓰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대등한 주행거리다. 충전시간도 대폭 단축된다. 지금은 배터리 용량의 80%까지 충전이 가능한 급속충전기를 이용하더라도 1시간은 꼼짝없이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3세대 전기차 시대가 열리면 20분 충전만으로 500㎞를 주행할 수 있다.
GM 1996년 EV1 발표 이후
주행거리 3배 넘게 늘어
현대차·폭스바겐 등 내년 초
SUV·픽업 등 차세대 모델 발표
EU·중국 전기차 보급확대 사활
주행거리 늘려온 전기차들
전기차는 주행거리에 따라 1~3세대로 구분된다. 미국 최대 자동차 회사인 제너럴모터스(GM)는 1996년 세계 최초의 순수 양산 전기차 EV1을 선보였다. 당시 1회 충전 후 주행거리는 160㎞였다. 서울에서 대전(160㎞)을 간신히 갈 수 있는 수준이다. 주행거리 160㎞가 1세대 전기차 기준이 된 배경이다.국내에선 현대자동차가 2016년 출시한 아이오닉 일렉트릭(1회 충전 주행거리 200㎞)과 기아차가 2017년 선보인 쏘울 EV(180㎞), 르노삼성자동차가 같은 해 내놓은 SM3 ZE(213㎞) 등이 1세대 전기차로 분류된다. 1회 충전으로 서울에서 충청권까지만 운행할 수 있었다.전기차는 2세대로 넘어오면서 주행거리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현대차가 올해 1월 출시한 코나 일렉트릭 2020년형은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406㎞에 달한다. 기아차가 3월 내놓은 2021년형 쏘울 부스터 EV(386㎞)와 2020년형 GM 쉐보레 볼트(414㎞) 등도 2세대 전기차에 속한다.
SUV부터 픽업트럭까지 전기차 쏟아져
현대차와 폭스바겐, GM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뼈대)을 적용해 3세대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들어가는 엔진과 변속기가 필요 없는 대신 차량 밑에 배터리를 배치해야 한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도입하면 차체를 단순화해 차량 무게를 줄이고 실내 공간도 넓힐 수 있다.현대차는 내년 초부터 차세대 전기차(코드명 NE)를 생산한다. 1회 충전거리가 450㎞(항속형 기준)를 웃돌고 급속 충전 시 15분 만에 배터리 용량의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차체 길이(4635㎜)와 폭(1890㎜)은 중형 SUV 싼타페와 비슷한 수준이다. 대신 내부 공간 규모를 결정짓는 휠베이스(앞뒤 바퀴축 사이 간격)는 3000㎜에 달한다. 대형 SUV인 팰리세이드(2900㎜)보다 길어 넉넉한 공간을 갖춘다.폭스바겐은 오는 9월부터 준중형 세단 ID.3 전기차를 고객에게 인도한다. 현대차 NE와 마찬가지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MEB)을 활용한 첫 전기차다. 모델에 따라 최대 550㎞를 충전 없이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바겐은 두 번째 3세대 전기차인 ID.4도 공개했다. 이 차량은 소형 SUV 형태다.
GM은 내년 하반기께 GMC 허머 EV 픽업트럭을 선보일 예정이다. 픽업트럭이 인기인 미국 시장에서 판매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다. 세계 1위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경쟁 상대가 될 전망이다. 메르세데스벤츠도 내년 전용 플랫폼(MEA)을 활용한 S클래스급 전기차 EQS를 내놓을 계획이다.
각국 전기차 보급에 사활
세계 각국도 전기차 인프라 확충 등 전기차 보급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달 80억유로(약 10조9000억원) 규모의 자동차산업 지원 정책을 내놨다. 2025년까지 유럽 최대의 클린카 생산국으로 거듭나겠다는 구상이다. 전기차 보조금을 대당 6000유로(약 819만원)에서 7000유로(약 955만원)로 늘리기로 했다. 독일 정부도 이달 초 1300억유로(약 177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하면서 전기차 활성화 정책을 포함시켰다. 4만유로(약 5462만원) 이하의 전기차에 6000유로의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도 전기차 지원을 핵심 경기부양책 중 하나로 밀고 있다. 올해 만료될 예정이었던 친환경차 감세 혜택을 2022년까지 연장했다. 배터리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작년의 10배 규모인 27억위안(약 4614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중국 베이징시 정부는 최근 최소 5만 대 규모의 전기차 충전시설을 2022년까지 구축하겠다는 내용의 전기차 지원책을 발표했다. 수명이 다했거나 고장 난 배터리를 바꿀 수 있는 ‘배터리 교체소’도 100곳 이상 마련하기로 했다.
한국도 전기차 보조금과 충전소 확대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1분기(1~3월) 전기차 보급대수는 1만1096대로 전년 동기(5608대)보다 97.9%나 급증했다. 반면 7828기에 달했던 전기차 신규 충전기는 올해엔 2620기에 그칠 전망이다.김보형 한국경제신문 산업부 기자 kph21c@hankyung.com
NIE 포인트
1. ‘지구온난화 이론은 허구’라는 주장도 있는데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휘발유 등 화석연료를 쓰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 전기자동차 사용을 늘려야 할까.2. 전기자동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 각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세금을 깎아주는 등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내연기관 자동차 사용자들에게 불공평하지 않을까.
3. 전기자동차 사용이 보편화되면 기존 내연기관(엔진)과 변속기를 개발·생산하던 완성차업체 해당 부문과 부품업체의 인력은 어떻게 구조조정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