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 한국 수출규제 1년, 경기도 '새로운 소부장 산업 생태계 조성해 극복'
입력
수정
경기도가 탈 일본 기술독립 선언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새로운 소부장(소재·부품·장비국산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수출규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다. 이는 ‘위기는 곧 기회’라는 판단에 따라 소부장 산업 육성 마스터 플랜을 세우는 등 발 빠른 대응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도는 지난해 7월 일본이 대 한국 수출규제 조치 시행과 함께 TF팀을 구성하고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인 326억원의 긴급 추경예산을 편성해 도내 소부장 기업을 지원하는 등 기술독립 실현 대책들을 펼치고 있다고 7일 발표했다.도 관계자는 “그 결과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관련 인프라 조성, 투자유치 다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물들을 이뤄 소부장 산업계 생태계를 새롭게 조성하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고 설명했다.
도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당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지역으로 예상됐다. 수원, 용인, 평택, 이천 등의 지역에 대표적 규제 품목인 반도체 산업이 집중돼 있어서였다. 여기에 전국에서 소부장 관련 기업들이 가장 많이 소재한 지역이기도 했다.
이에 따라 도는 일본의 수출규제 발표 사흘만인 지난해 7월 4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수출규제 대응 TF팀 구성, 피해신고센터 개소, 현장간담회 개최 등 발 빠른 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 지난해 9월 도의회 만장일치로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인 326억원 규모의 긴급 추경예산을 편성해 전폭적인 지원을 펼치며 혼란스러웠던 상황을 무난히 수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도의 발 빠른 대책 가운데 소부장 산업 육성 마스터 플랜 수립이 일본 수출규제 극복의 핵심으로 꼽히고 있다. 이 대책은 기술독립으로 가는 지름길을 찾았다는 평가가 뒤 따른다.
성공적인 긴급처방에 이어 도는 지역특성에 맞는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체계적인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돌입해 올해 5월 ‘경기도형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완료했다.
용역에서는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산업생태계의 거점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핵심전략 품목 선정 및 육성, 대중소기업 상생기반 구축, 산학연 클러스터 촉진 등 3대 전략 10개 과제가 제안됐다. 도는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7월중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해 이를 토대로 앞으로 5년간 연구개발(R&D), 판로지원, 인프라 구축 등에 최소 2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도는 이와 함께 일본으로부터의 완전한 기술 독립을 위해 ‘소부장 국산화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조성이 완료되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기업 투자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는 이 밖에도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사업 추진과 반도체 소자 제작과정 인재 공급 체계를 만드는데도 주력하고 있다.도는 그동안 기술독립 실현을 위해 글로벌기업 연계 부품국산화 지원, 기업 경쟁력 강화 연구개발 사업비 지원, 시스템반도체 소재·소자 국산화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부품 연구개발 사업들을 마련해 추진해왔다. 특히 기술개발 예산을 대폭 늘려 연간 300억 원 이상을 도내 기업에 지원, 이에 힘입어 많은 업체들이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화성시의 중소기업 ㈜써브가 대표 성공 사례다. 이 기업은 도의 지원으로 ‘항공기용 화물 팔레트’ 개발에 성공해 국내 최초로 미국연방항공청(FAA)의 인증을 받았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항공기용 부품을 국산화해 국내로 공급하고 해외시장 진출 발판도 마련하게 됐다.
이 밖에도 ‘기술닥터’와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은 시작 이래 1148건의 기술애로를 해결하고 2979편의 기술개발 논문 발표 및 1020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이룩했다.
도는 최근에는 외국기업에 대한 투자유치에 적극 나서는 등 수입선 다변화도 추진하고 있다.이는 국내 기업의 기술력만으로는 단기간 내 빠른 공급안정화 달성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9월 세계 1위 반도체 장비회사 미국의 램리서치와 R&D센터 설립을 위한 투자 MOU를 체결도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것이다.이를 위해 지난해 10월에는 러시아와의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경기-러시아 기술협력센터’를 개소해 러시아의 첨단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도내 기업의 혁신기술 상용화와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류광열 도 경제실장은 “이제는 단기적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진정한 기술독립, 더 나아가 기술 선도 강국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다져야할 때”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은 물론, 산학연 간 연계협력, 과감한 제도개선, 적극적 투자 유치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정부=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도는 지난해 7월 일본이 대 한국 수출규제 조치 시행과 함께 TF팀을 구성하고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인 326억원의 긴급 추경예산을 편성해 도내 소부장 기업을 지원하는 등 기술독립 실현 대책들을 펼치고 있다고 7일 발표했다.도 관계자는 “그 결과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관련 인프라 조성, 투자유치 다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물들을 이뤄 소부장 산업계 생태계를 새롭게 조성하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고 설명했다.
도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당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지역으로 예상됐다. 수원, 용인, 평택, 이천 등의 지역에 대표적 규제 품목인 반도체 산업이 집중돼 있어서였다. 여기에 전국에서 소부장 관련 기업들이 가장 많이 소재한 지역이기도 했다.
이에 따라 도는 일본의 수출규제 발표 사흘만인 지난해 7월 4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수출규제 대응 TF팀 구성, 피해신고센터 개소, 현장간담회 개최 등 발 빠른 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 지난해 9월 도의회 만장일치로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인 326억원 규모의 긴급 추경예산을 편성해 전폭적인 지원을 펼치며 혼란스러웠던 상황을 무난히 수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도의 발 빠른 대책 가운데 소부장 산업 육성 마스터 플랜 수립이 일본 수출규제 극복의 핵심으로 꼽히고 있다. 이 대책은 기술독립으로 가는 지름길을 찾았다는 평가가 뒤 따른다.
성공적인 긴급처방에 이어 도는 지역특성에 맞는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체계적인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돌입해 올해 5월 ‘경기도형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완료했다.
용역에서는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산업생태계의 거점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핵심전략 품목 선정 및 육성, 대중소기업 상생기반 구축, 산학연 클러스터 촉진 등 3대 전략 10개 과제가 제안됐다. 도는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7월중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해 이를 토대로 앞으로 5년간 연구개발(R&D), 판로지원, 인프라 구축 등에 최소 2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도는 이와 함께 일본으로부터의 완전한 기술 독립을 위해 ‘소부장 국산화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조성이 완료되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기업 투자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는 이 밖에도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사업 추진과 반도체 소자 제작과정 인재 공급 체계를 만드는데도 주력하고 있다.도는 그동안 기술독립 실현을 위해 글로벌기업 연계 부품국산화 지원, 기업 경쟁력 강화 연구개발 사업비 지원, 시스템반도체 소재·소자 국산화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부품 연구개발 사업들을 마련해 추진해왔다. 특히 기술개발 예산을 대폭 늘려 연간 300억 원 이상을 도내 기업에 지원, 이에 힘입어 많은 업체들이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화성시의 중소기업 ㈜써브가 대표 성공 사례다. 이 기업은 도의 지원으로 ‘항공기용 화물 팔레트’ 개발에 성공해 국내 최초로 미국연방항공청(FAA)의 인증을 받았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항공기용 부품을 국산화해 국내로 공급하고 해외시장 진출 발판도 마련하게 됐다.
이 밖에도 ‘기술닥터’와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은 시작 이래 1148건의 기술애로를 해결하고 2979편의 기술개발 논문 발표 및 1020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성과를 이룩했다.
도는 최근에는 외국기업에 대한 투자유치에 적극 나서는 등 수입선 다변화도 추진하고 있다.이는 국내 기업의 기술력만으로는 단기간 내 빠른 공급안정화 달성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9월 세계 1위 반도체 장비회사 미국의 램리서치와 R&D센터 설립을 위한 투자 MOU를 체결도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것이다.이를 위해 지난해 10월에는 러시아와의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경기-러시아 기술협력센터’를 개소해 러시아의 첨단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도내 기업의 혁신기술 상용화와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류광열 도 경제실장은 “이제는 단기적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진정한 기술독립, 더 나아가 기술 선도 강국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다져야할 때”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은 물론, 산학연 간 연계협력, 과감한 제도개선, 적극적 투자 유치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정부=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