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국산 통신위성 '천리안 3호' 4100억 들여 만든다
입력
수정
지면A16
개발사업 예타 통과…내년 돌입국산 기술로 만드는 첫 통신 위성 ‘천리안 3호’ 개발 사업이 내년부터 시작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사업을 주도한다.
ETRI·항공우주연구원 주도
5G 주파수 활용…서비스 품질↑
재난·재해때 긴급 통신도 제공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4118억원 규모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 3호)’ 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가 지난달 말 통과됐다. 한반도 상공 약 3만6000㎞, 경도 128.2도의 정지궤도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이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와 자전 주기가 같아 항상 같은 곳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위성을 말한다. 사업비 4118억원 가운데 과기정통부가 2600억원, 환경부가 502억원, 국토교통부가 533억원, 해양경찰청이 483억원을 분담한다.
국산 기술로 통신 위성을 제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90년대 이후 방송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던 무궁화 위성은 유럽 기술로 만든 위성이었다. 2010년 6월 발사된 천리안 1호(통신·해양·기상위성)에는 통신 탑재체가 있지만 시험용이라 정식 서비스는 불가능했다. 천리안 3호엔 카(ka) 대역을 쓰는 실제 통신·방송용 탑재체가 들어간다. 카 대역은 20~30기가헤르츠(㎓) 주파수를 말한다. 카 대역 주파수를 활용하면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초고화질(UHD) TV 방송, 초고속 인터넷 광대역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천리안 3호는 5G 통신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사용될 전망이다. 이동통신 표준화 국제협력기구(3GPP)가 지상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 간 연계를 5G 이후부터 국제 표준으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이후 차세대 통신에서는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고주파 대역이 필요한데, 이는 국내 지상 기지국만으론 감당하기 어렵다”며 “안정적인 5G 서비스를 위해 통신 전용 위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천리안 3호는 재난·재해 시 긴급 통신 서비스도 제공한다. 해상, 산악 등 지상 통신망이 닿지 않는 음영 지역 비상통신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천, 댐 등의 수위와 환경 감시 기능도 맡는다. L대역(1~2㎓) 저주파수를 이용해 비바람 등 악천후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오차를 보정하는 항법보강시스템(SBAS)도 국내 위성 가운데 최초로 들어간다. 국토부가 추진 중인 정밀항법 보정사업(KASS)의 일환이다. SBAS는 항공기 자동 이착륙, 선박 간 충돌 방지 등에 활용되는 항법 서비스 오차를 보정하는 기술이다. 현재 한국은 GPS뿐 아니라 오차보정 서비스 역시 모두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