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표' 조직·정책들 한가득…수장 없는 서울시 향방은

혁신기획관·민주주의위원회·청년수당 등 '박원순 철학' 물씬
10일 숨진 채 발견된 박원순 서울시장은 3천일 넘게 시장 자리에 있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서울시정 구석구석에 구현했다. 전에 없던 새로운 조직과 자리를 만들고 외부 인물을 데려와 중책을 맡겼으며 공무원 조직이 떠올리기 어렵던 아이디어를 정책으로 탈바꿈시켰다.

그의 족적에는 늘 다양한 찬반 평가가 뒤따랐는데, 지금까지 비판을 막아내던 박 시장은 이제 자리에 없다.

남겨진 서울시 조직과 정책은 권한대행 체제가 유지되는 내년 4월까지는 큰 변동이 없을지라도 보궐선거 이후에는 적잖은 폭의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 ◇ 상설 조직에 '박원순 색'
서울혁신기획관은 박 시장이 초선이던 2011년 시장 직속으로 신설한 조직이다.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기반 조성, 시정 주요 갈등 조정, 사회혁신 전파 등을 목적으로 뒀다.

서울민주주의위원회는 시민 민주주의 확대를 위한다는 민관 합의제 시장 직속 행정기관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숙원사업'으로 불릴 만큼 박 시장이 직접 챙긴 것으로 전해진다.

청년청과 광화문광장추진단 등도 '박원순표'로 분류될 만한 조직들이다.

청년청은 청년 정책 수립에 청년을 직접 참여시키겠다며 지난해 초 신설했다. 연간 500억원 규모의 예산안 편성권이 청년청에 배정됐다.

광화문광장추진단은 어쩌면 박 시장의 '대선 프로젝트'가 될 수도 있었을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구상하고 추진하는 조직으로 만들어졌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는 현 광화문광장 양측의 도로를 보행광장으로 만들고 광화문 앞 월대를 복원하는 등 지금의 광화문광장과 세종대로 일대 풍경을 대폭 바꾸려는 계획이었다.

이들 조직은 박 시장의 개인적 철학과 정책적 의지가 물씬 묻어 있는 만큼 장차 보궐선거 이후 조직 개편에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대부분 애초 기존 부서들이 담당하던 업무를 따로 떼어 내 가져와 전담하면서 덩치를 키운 조직인 만큼 만에 하나 개편이 이뤄지더라도 업무 연속성 문제가 불거질 우려는 적다는 점도 그런 가능성을 키운다.
◇ '박원순표' 정책들…추진 동력 유지할 수 있나
박 시장은 한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표가 있어야 하는 선출직 수장으로 10년 가까이 있으면서 수많은 정책을 양산했다.

대표적으로 청년수당은 박근혜 정부 시기 박 시장이 도입하면서 당시 여권으로부터 '포퓰리즘'이라는 비난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정권이 바뀔 때까지 숱한 비판을 뚫어내고 버틴 후에는 서울시의 대표적 복지정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박 시장은 청년수당을 두고 "포퓰리즘이 아니라 리얼리즘"이라는 말로 비판을 받아쳤다.

박 시장과 연상돼 떠오르는 정책 중 하나인 간편결제서비스 '제로페이'는 박 시장이 의제를 던지고 중앙정부가 받아들여 전국화했다.

서울시는 제로페이 정책을 위한 제로페이담당관을 만들고 재난지원금 지급에 제로페이를 활용하는 등 추진, 홍보, 용처 확대에 앞장서면서 제로페이의 간판으로 나섰다.

이처럼 박 시장의 복지 철학이 반영된 청년수당이나 그가 힘을 실었던 제로페이가 장차 얼마나 추진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물론 현 서울시 체제에는 박 시장과 뜻을 함께하는 이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어 큰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지난 5월 코로나19 2차 추경안을 마련하면서 청년수당 예산을 904억원에서 784억원으로 120억원 삭감했는데, 서울시의회가 제동을 걸어 원래 규모를 유지하도록 할 정도였다.

다만 2032 서울-평양 공동 하계올림픽 유치나 전 국민 고용보험 등 서울시 업무 범위를 넘어 박 시장 개인이 전면에 나서서 추진하던 사안들은 향후 이렇다 할 힘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박 시장이 여러 수단을 동원해 밀어붙였을 때도 대내외적 여건으로 인해 가시적 진전이 이뤄지지 않았는데 인제 와서 이를 계속 추진하는 자체가 서울시에 부담일 수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