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 유족 "대전현충원 안장 괜찮다"지만…

6·25 전쟁영웅 '홀대' 논란 가열

국방부 "서울현충원 빈자리 없다"
보훈처 "서울·대전 위상 똑같다"

재향군인회·상이군경회 등 반발
"전우들 곁 영면해야" 재차 촉구
< 주한미군 사령관·합참의장 공동 조문 > 박한기 합동참모본부 의장(왼쪽)과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 사령관이 13일 서울 풍납2동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백선엽 장군의 빈소에서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0일 별세한 백선엽 장군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하는 것을 두고 ‘홀대’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립서울현충원이 만장이어서 대전으로 정했다는 국방부 공식 브리핑에 재향군인회 등은 “국가유공자 묘역의 빈자리를 활용할 수 있다”며 서울현충원에 안장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서울현충원이 만장된 상황으로 알고 있다”며 “이에 국가보훈처 등 관계기관이 유가족과 협의해 대전현충원 안장으로 결정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서울과 대전 현충원에 안장되는 대상자를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정부가 세 번째 현충원으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국립연천현충원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서울현충원은 국방부가, 대전현충원은 보훈처가 관할한다. 보훈처 관계자는 “현충원 간 차이는 빈자리의 유무뿐”이라며 “안장 대상자가 작고하면 절차에 따라 빈자리가 있는 곳으로 안장이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서울현충원의 장군묘역은 1996년에 만장됐다. 광복 이후 국군의 창설과 발전은 물론 6·25전쟁, 베트남전, 대간첩 작전 등에서 전공을 세운 군 장성 355명이 안장돼 있다. 이후 서울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된 사례는 없다. 2013년 별세한 채명신 장군은 “전우들과 함께하고 싶다”는 유언에 따라 서울현충원 사병묘역에 안장됐다.

사단법인 대한민국 육군협회와 재향군인회 등은 서울현충원 안장을 주장하고 있다. 상이군경회도 이날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 당시 백척간두에 서 있던 대한민국을 구해낸 구국 영웅으로서 국난극복의 대명사”라며 “전우 호국영령들이 영면하고 있는 서울현충원에 함께 안장돼야 한다”고 밝혔다.현재 서울현충원의 장교·사병묘역 역시 모두 만장된 상태다. 일각에서는 국가유공자 묘역의 빈자리를 활용해 안장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백 장군을 서울현충원에 안장하려면 ‘예외’를 만들어야 한다. 예외 사례가 없는 건 아니다. 서울현충원은 국가원수 묘역이 가득 찼지만 하단에 예외적으로 장지를 조성해 2009년 김대중 전 대통령을 안장했다. 2015년 김영삼 전 대통령 역시 유가족 요청으로 서울현충원이 장군묘역 근처에 장지를 조성해 안장했다. 2006년 최규하 전 대통령이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서울현충원 측은 서울 안장을 원하는 유가족들을 배려해 2006년부터 ‘충혼당’이란 이름으로 납골당을 운영하고 있다. 만약 백 장군의 서울 안장을 추진한다면 납골당 안치 역시 선택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백 장군의 장남인 백남혁 씨(67)는 “아버지도 그렇고 가족도 그렇고 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며 “아버지도 생전 대전현충원 안장에 만족했다”고 전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