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이 만든 당헌, 내년 4월 민주당 재보궐 발목잡나
입력
수정
부정부패로 직위 상실시 후보자 추천 안 하도록 규정
차기 공천권 쥔 두 당 대표 후보의 입에 이목 쏠려
이낙연 "시기가 되면 할 말을 하겠다"
김부겸 "당원들 뜻 물을 것…필요하면 당헌 개정도"

민주당이 후보를 낼 경우 현재 문재인 대통령이 당 대표로 있던 시절 만든 당헌을 개정해야 하는 상황까지 맞을 수 있다.민주당 당헌 96조 2항은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그 직위를 상실해 재·보궐선거를 실시하게 된 경우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고 규정했다.
이 조항은 2015년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 전신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맡았던 당시 '김상곤 혁신위'에서 제정됐다.
이에 당내에선 지난 4월 직원 성추행으로 시장직을 사퇴한 오거돈 전 부산시장에 사례에 해당 당헌을 적용해 "후보자 공천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하지만 오거돈 전 시장에 이어 서울시장 자리까지 공석이 되면서 후보자 공천을 둘러싼 속내가 복잡해졌다.
여기에 민주당 소속 이재명 경기도지사, 김경수 경남도지사, 송철호 울산시장 역시 재판 중인 사안이 있어 만약 이들이 모두 직에서 낙마하게 될 경우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당내에선 성추행 의혹을 인정하고 사퇴한 오거돈 전 시장에 대해서만 당헌을 적용해 후보를 내지 말고 '공소권 없음'으로 수사가 종결된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건엔 적용하지 말자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김부겸 전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역에서 고생하고 있는 당원들의 뜻을 묻고 필요하다면 당헌 개정에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