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마켓+] "남자 배우 출연료 주다가 드라마 산업 망하겠네"
입력
수정
"이번에 처음으로 드라마 주연을 맡았고, OTT에도 팔지도 못하는 배우를, 회당 5000만 원이 말이 된다고 생각하세요?"
며칠사이 방송가를 '핫'하게 물들였던 모 드라마 출연자에 대한 이야기다. 이 출연자는 지난해부터 화제가 된 작품에 연이어 캐스팅되며 탄탄한 연기력을 뽐냈다. '스타성'보다는 '연기력'이 돋보였던 신예였고, 대중적인 인기는 없었지만 관계자들 사이에서 "연기 잘하는 될 성 부른 배우"라는 평을 받으면서 최근 한 드라마에 주인공으로 캐스팅됐다. 하지만 문제는 몸값이었다. 본인의 의지였는지, 소속사의 무리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 배우는 회당 5000만 원의 출연료를 요구했다. 결국 해당 드라마는 제작비 문제로 백지화됐다. 방송가에서 배우들, 특히 젊은 남자 배우들의 출연료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이대로 가다간 모두가 망한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해외에서 인기있는 한류 스타뿐 아니라 이제 막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신인급까지 몸값 올리기에 동참하면서 인건비 상승, 52시간 근무제, 코로나19로 신음하는 드라마 제작 관계자들은 "미치겠다"는 한숨을 내쉬었다.
일본에서 중국, 그리고 '혐한'과 '한한령'으로 막힌 시장을 대신해 급부상한 게 넷플릭스, 웨이보 등 OTT 플랫폼이다. 특히 넷플릭스는 국내 드라마 제작사는 물론 방송사들도 함께하길 바라는 '큰 손'이 됐다. 때문에 최근 작품 사이즈를 키울 수 있는 기준은 넷플릭스에 팔릴 수 있느냐가 됐다. 지난해 데뷔해 이제 막 주연 배우로 인지도를 알리기 시작한 한 배우도 회당 1억 원에 가까운 몸값을 요구했는데, 넷플릭스 방영이 확정되면서 수용돼 관계자들 사이에서 회자됐다. 올해 최고의 드라마로 꼽히는 JTBC '부부의 세계' 김희애가 회당 7000만 원 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말도 안되는 금액"이라는 비판이 나왔지만, "우리 배우는 인기도 많고, 여기 아니어도 출연해 달라는 곳은 많다"며 배짱을 튕기는 스타와 소속사 앞에 결국 제작사와 방송사가 무릎을 꿇은 것.
그럼에도 배우들의 몸값은 계속 오르고 있다. 2008년 지상파 3사 드라마 국장들이 스타들의 몸값 규제를 해야 한다고 동의했고, 당시 최고 스타였던 고현정이 MBC '선덕여왕'에 1500만 원으로 몸값을 낮춰 출연 계약을 해 화제가 된 바 있다. 하지만 그 이후 한 번 깨진 출연료 상한선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중국에서도 거품낀 스타들의 몸값을 바로잡기 위해 전체 제작비의 40%로 출연료를 제한한다는 가이드라인이 2017년 나왔다. 특히 주연 배우들의 출연료가 전체 배우 캐스팅 예산의 70%를 넘지 못하게 하는 조항도 포함돼 있어 스타들의 몸값을 낮추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제작 현실에서는 이런 규제가 없는 상황이다. 지상파는 물론 케이블과 종편, OTT 오리지널 콘텐츠까지 제작되는 작품이 늘어났지만 눈길을 끄는 스타는 한정돼 있다는 점에서 몸값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것. 한류가 가능한 특A급 남자 배우의 경우 회당 2억 이상이라는 게 공통된 증언이다. 드라마 회당 제작비가 보통 4억5000만 원에서 6억 원 선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주연 배우 1명이 절반 가까이 받아가는 비정상적인 구조다.
한 한류스타는 오랜만에 복귀작을 준비하면서 회당 2억5000만 원의 출연료에 판권 판매 수익 절반을 요구했다. 영화에서 출연료를 깎고 대신 러닝 개런티를 요구하는 사례는 왕왕 있지만, 드라마 해외 판권에 대한 수익까지 주연 배우가 가져가겠다는 건 드문 사례다. 그럼에도 출연 성사를 위해 방송사와 제작사가 무리한 요구를 울며 겨자먹기로 합의한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해당 드라마는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해외 판권 수입은 예상보다 적었다는 말이 나오지만, 제작사와 방송사는 과도한 몸값으로 인한 적자를 떠안게 됐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며칠사이 방송가를 '핫'하게 물들였던 모 드라마 출연자에 대한 이야기다. 이 출연자는 지난해부터 화제가 된 작품에 연이어 캐스팅되며 탄탄한 연기력을 뽐냈다. '스타성'보다는 '연기력'이 돋보였던 신예였고, 대중적인 인기는 없었지만 관계자들 사이에서 "연기 잘하는 될 성 부른 배우"라는 평을 받으면서 최근 한 드라마에 주인공으로 캐스팅됐다. 하지만 문제는 몸값이었다. 본인의 의지였는지, 소속사의 무리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 배우는 회당 5000만 원의 출연료를 요구했다. 결국 해당 드라마는 제작비 문제로 백지화됐다. 방송가에서 배우들, 특히 젊은 남자 배우들의 출연료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이대로 가다간 모두가 망한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해외에서 인기있는 한류 스타뿐 아니라 이제 막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신인급까지 몸값 올리기에 동참하면서 인건비 상승, 52시간 근무제, 코로나19로 신음하는 드라마 제작 관계자들은 "미치겠다"는 한숨을 내쉬었다.
"OTT에 팔리는 배우가 나와야 하는데…"
이제 국내에서만 방영해서는 드라마 순익분기점도 맞추기 힘들다. 국내에서 기록적인 시청률을 기록하고, 신드롬적인 인기를 모아도 해외나 OTT(Over The Top: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 서비스)로 수출하지 않으면 "드라마로 돈 벌기 힘들다"는 게 현실이다.일본에서 중국, 그리고 '혐한'과 '한한령'으로 막힌 시장을 대신해 급부상한 게 넷플릭스, 웨이보 등 OTT 플랫폼이다. 특히 넷플릭스는 국내 드라마 제작사는 물론 방송사들도 함께하길 바라는 '큰 손'이 됐다. 때문에 최근 작품 사이즈를 키울 수 있는 기준은 넷플릭스에 팔릴 수 있느냐가 됐다. 지난해 데뷔해 이제 막 주연 배우로 인지도를 알리기 시작한 한 배우도 회당 1억 원에 가까운 몸값을 요구했는데, 넷플릭스 방영이 확정되면서 수용돼 관계자들 사이에서 회자됐다. 올해 최고의 드라마로 꼽히는 JTBC '부부의 세계' 김희애가 회당 7000만 원 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말도 안되는 금액"이라는 비판이 나왔지만, "우리 배우는 인기도 많고, 여기 아니어도 출연해 달라는 곳은 많다"며 배짱을 튕기는 스타와 소속사 앞에 결국 제작사와 방송사가 무릎을 꿇은 것.
시장 어려운데, 지분까지 요구하는 배우들
시청률 두자릿수만 남겨도 "대박"이라는 평가를 받고, 시청률이 잘나와도 적자가 나는 작품이 허다하다. 회당 2~3억 씩 손해를 보고 방송되는 드라마도 적지 않다.그럼에도 배우들의 몸값은 계속 오르고 있다. 2008년 지상파 3사 드라마 국장들이 스타들의 몸값 규제를 해야 한다고 동의했고, 당시 최고 스타였던 고현정이 MBC '선덕여왕'에 1500만 원으로 몸값을 낮춰 출연 계약을 해 화제가 된 바 있다. 하지만 그 이후 한 번 깨진 출연료 상한선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중국에서도 거품낀 스타들의 몸값을 바로잡기 위해 전체 제작비의 40%로 출연료를 제한한다는 가이드라인이 2017년 나왔다. 특히 주연 배우들의 출연료가 전체 배우 캐스팅 예산의 70%를 넘지 못하게 하는 조항도 포함돼 있어 스타들의 몸값을 낮추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제작 현실에서는 이런 규제가 없는 상황이다. 지상파는 물론 케이블과 종편, OTT 오리지널 콘텐츠까지 제작되는 작품이 늘어났지만 눈길을 끄는 스타는 한정돼 있다는 점에서 몸값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것. 한류가 가능한 특A급 남자 배우의 경우 회당 2억 이상이라는 게 공통된 증언이다. 드라마 회당 제작비가 보통 4억5000만 원에서 6억 원 선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주연 배우 1명이 절반 가까이 받아가는 비정상적인 구조다.
한 한류스타는 오랜만에 복귀작을 준비하면서 회당 2억5000만 원의 출연료에 판권 판매 수익 절반을 요구했다. 영화에서 출연료를 깎고 대신 러닝 개런티를 요구하는 사례는 왕왕 있지만, 드라마 해외 판권에 대한 수익까지 주연 배우가 가져가겠다는 건 드문 사례다. 그럼에도 출연 성사를 위해 방송사와 제작사가 무리한 요구를 울며 겨자먹기로 합의한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해당 드라마는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해외 판권 수입은 예상보다 적었다는 말이 나오지만, 제작사와 방송사는 과도한 몸값으로 인한 적자를 떠안게 됐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