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순이익' 발음이 두 가지인 까닭
입력
수정
지면S18
'순이익'을 보면, 표준발음법은우리말 적기의 규범을 세운 것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나오면서부터다. 이어 1936년 ‘조선어 표준말 모음’이 마련돼 정서법의 골격이 갖춰졌다. 표준어와 함께 동전의 앞뒤라 할 수 있는 표준발음법은 그뒤로도 50여 년이 더 지난 1988년에야 그 모습을 드러냈다. 발음의 기준을 세운다는 게 그만큼 힘든 일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 말을 [순니익]으로 발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ㄴ음 첨가현상이다. 하지만 언어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이 받침을 흘려내린 [수니익]으로 발음한다.
원칙 [순니익], 현실발음 [수니익]…둘 다 허용
서울의 지명에서 아주 멋들어진 이름 가운데 하나가 ‘학여울’이다. 이 말은 ‘학(鶴)’과 고유어 ‘여울’의 합성어다. 여울이란 강 같은 데 바닥이 얕거나 폭이 좁아 물살이 세게 흐르는 곳을 말한다. 탄천과 양재천이 만나는 한강 갈대밭 부근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그곳에 1993년 서울지하철 3호선 학여울역(강남구 대치동)이 들어섰다.그런데 이 ‘학여울’의 발음이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어떤 사람은 [항녀울]이라 하는가 하면 훨씬 많은 이들은 [하겨울]이라고 말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항녀울]이 맞는 발음이다. 실제로 역 구내에는 로마자로 ‘Hangnyeoul’이라 표기돼 있다. 만약 [하겨울]로 발음한다면 그 표기는 ‘Hagyeoul’이 됐을 것이다.‘학여울역’의 발음은 어떻게 [항녀울력]으로 됐을까? 우선 ‘학+여울’의 결합부터 보자. 발음할 때 ㄴ음이 첨가돼 [학녀울]로 바뀐다(표준발음법 29항). ‘막일, 늑막염, 내복약, 솜이불’ 같은 합성어를 소리 내 보면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일관되게 ㄴ음이 첨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다시 [항녀울]로 바뀌는데, 이는 자음동화(정확히는 비음화) 때문이다. 첨가된 ㄴ음으로 인해 앞말의 받침 ㄱ까지 비음(콧소리 ㄴ, ㅁ, ㅇ)으로 바뀐다(표준발음법 18항). ‘먹는[멍는], 국물[궁물], 옷맵시[온맵씨] 꽃망울[꼰망울] 밥물[밤물]’ 같은 게 그런 예다.
이제 [항녀울]에 ‘역’을 붙이면 발음이 완성된다. [항녀울]과 ‘역’의 결합에서는 마찬가지로 ㄴ음 첨가현상이 나타난다([항녀울녁]). 이어서 최종적으로 [항녀울력]으로 바뀌는데, 이는 유음화 현상(넓게는 자음동화)이다.(표준발음법 20항: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ㄴ은 ㄹ로 발음한다.) ‘서울역[서울력] 휘발유[휘발류] 물약[물략] 설익다[설릭따] 솔잎[솔립]’ 같은 게 그 예다. 모두 ㄴ이 먼저 첨가된 뒤 앞에 있는 받침 ㄹ에 의해 동화가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