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공관 폐쇄 부른 '스파이 전쟁'
입력
수정
지면A31
‘스파이 전쟁’이 치열하던 냉전시대에도 각국 정부는 ‘기피 외교관’을 추방하는 선에서 문제를 봉합했다. 1986년 미국이 옛 소련 외교관 80명을 무더기로 추방하고, 2001년 미국과 러시아가 50명씩 맞추방하면서도 양측의 외교 공관은 건드리지 않았다.
그러다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임기 말에 정부 시설을 규제하는 일이 일어났다. 2016년 오바마 대통령은 러시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돕기 위해 선거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외교관 35명을 추방하며 미국 내 러시아 정부 시설 두 곳을 폐쇄했다. 러시아는 모스크바의 미국 대사관 별장을 폐쇄하는 것으로 맞대응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로는 공관 폐쇄라는 강수가 동원됐다. 2017년 러시아가 미국 의회의 제재법안 통과에 맞서 자국 내 미국 외교관 1200여 명 중 755명을 추방하자 미국은 제정러시아 때부터 유지해온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등 세 곳을 전격 폐쇄했다.
최근 들어서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스파이 전쟁’의 전선도 정치를 넘어 첨단산업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미 법무부는 최근 코로나19 백신 연구 관련 정보를 훔치려 한 혐의로 중국인 해커들을 기소했다. 중국인 스탠퍼드대 방문연구원이 중국군 소속임을 숨겼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휴스턴에서는 중국 총영사와 외교관들이 공항에서 중국 여행객들을 에스코트할 때 가짜 신분증을 사용하다가 적발됐다. 휴스턴에는 미 항공우주국 우주센터가 있고 에너지·의학·제약 연구소도 많다.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휴스턴 총영사관이 중국 공산당의 거대한 스파이 센터”라고 주장했다.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그제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강경 조치를 취했다. 휴스턴 총영사관은 1979년 미·중 수교 때 개설된 최초의 주미 총영사관이다. 미국 남부 8개 주와 푸에르토리코연방을 담당한다.
중국은 자국 내 미국 영사관 폐쇄라는 ‘맞짱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인민일보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원지로 꼽히는 우한의 미국 영사관 폐쇄가 유력한 가운데 홍콩 주재 영사관 폐쇄설도 나오고 있다.
미·중 갈등이 공관 폐쇄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자 양국과 이해관계가 얽힌 나라들이 애꿎은 피해를 당하지 않을까 고심하고 있다. 벌써 중국 기업 화웨이와 관련한 불똥이 사방으로 튀고 있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그러다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임기 말에 정부 시설을 규제하는 일이 일어났다. 2016년 오바마 대통령은 러시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돕기 위해 선거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외교관 35명을 추방하며 미국 내 러시아 정부 시설 두 곳을 폐쇄했다. 러시아는 모스크바의 미국 대사관 별장을 폐쇄하는 것으로 맞대응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로는 공관 폐쇄라는 강수가 동원됐다. 2017년 러시아가 미국 의회의 제재법안 통과에 맞서 자국 내 미국 외교관 1200여 명 중 755명을 추방하자 미국은 제정러시아 때부터 유지해온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등 세 곳을 전격 폐쇄했다.
최근 들어서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스파이 전쟁’의 전선도 정치를 넘어 첨단산업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미 법무부는 최근 코로나19 백신 연구 관련 정보를 훔치려 한 혐의로 중국인 해커들을 기소했다. 중국인 스탠퍼드대 방문연구원이 중국군 소속임을 숨겼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휴스턴에서는 중국 총영사와 외교관들이 공항에서 중국 여행객들을 에스코트할 때 가짜 신분증을 사용하다가 적발됐다. 휴스턴에는 미 항공우주국 우주센터가 있고 에너지·의학·제약 연구소도 많다.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휴스턴 총영사관이 중국 공산당의 거대한 스파이 센터”라고 주장했다.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그제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강경 조치를 취했다. 휴스턴 총영사관은 1979년 미·중 수교 때 개설된 최초의 주미 총영사관이다. 미국 남부 8개 주와 푸에르토리코연방을 담당한다.
중국은 자국 내 미국 영사관 폐쇄라는 ‘맞짱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인민일보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원지로 꼽히는 우한의 미국 영사관 폐쇄가 유력한 가운데 홍콩 주재 영사관 폐쇄설도 나오고 있다.
미·중 갈등이 공관 폐쇄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자 양국과 이해관계가 얽힌 나라들이 애꿎은 피해를 당하지 않을까 고심하고 있다. 벌써 중국 기업 화웨이와 관련한 불똥이 사방으로 튀고 있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