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홍수' 뚫은 할리스, 공간혁신·인재발탁 통했다

사모펀드 IMM, 2013년 인수
7년새 매출·영업이익 2배↑

다수 사모펀드서 인수 관심
할리스커피가 국내 사모펀드인 IMM PE로 넘어간 것은 2013년 7월이다. 당시에도 국내 커피시장은 포화상태라는 의견이 많았다. 주요 상권엔 스타벅스,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등 유명 체인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IMM은 1인 가구와 카페 이용객 증가 추세를 바탕으로 프리미엄 커피시장이 더 성장할 것으로 판단하고 규모는 작지만 수익성이 좋은 할리스커피를 약 800억원에 사들였다.

7년 새 할리스커피 매장은 384개에서 560개로 46% 늘었고 연매출은 686억원(2013년)에서 1649억원(2019년)으로 140% 뛰었다. 특히 기업의 현금 창출력을 보여주는 EBITDA(세금·이자·상각 전 영업이익)는 이 기간 99억원에서 474억원으로 약 380% 급증했다. 사모펀드와 커피업계는 △핵심 상권에서의 정면승부 △상권별 전략 차별화 △인재 영입 등 3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분석한다.

IMM이 할리스커피를 인수한 뒤 가장 먼저 한 일은 서울 세종로에 3층 규모 대형 직영점을 낸 것이었다. 번화가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할리스커피 기존 경영진 대다수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며 반대했다. 그러나 IMM은 할리스커피를 대중적이고 친숙한 브랜드로 키우려면 유명 체인과의 정면 승부가 불가피하다고 봤다. 서울 강남역과 이태원, 부산 해운대 등 전국 주요 상권에 대형 직영점을 잇달아 냈다. 판단은 적중했다. 현재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이 100여 개 직영점에서 나온다.

IMM은 매장을 오래 머무르고 싶은 편안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작업도 시도했다. 매장별로 맞춤형 콘셉트를 도입한 것이다. 대학가엔 ‘카공족’(카페에서 공부하는 사람)을 위해 콘센트를 늘리고 도서관처럼 칸막이 좌석을 마련했다.인력 운영도 파격적이었다. IMM은 인수 실무를 이끈 김유진 상무를 2017년 할리스커피 대표로 보냈다. 김 대표는 매장 아르바이트부터 시작해 3개월간 10여 개 매장을 돌며 현장을 파악했다. 매장 판매시점정보관리(POS) 시스템 개선과 커피기계 자동화 등은 이런 경험에서 비롯됐다. 이듬해엔 P&G 태국법인에서 일하던 브랜드 전략가 신유정 씨를 이사로 영입했다. 디즈니 다이어리와 올여름 인기몰이 중인 폴딩(접이식)카트 등이 그의 작품이다.

국내외 다수 사모펀드 등이 할리스커피 인수에 관심을 두고 실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