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무궁화 꽃잎 추출물 미백효과 입증
입력
수정
나라꽃인 무궁화 꽃잎의 추출물이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과학원 무궁화연구팀이 제주대 김기영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무궁화 꽃잎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기미, 잡티, 노인성 반점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 색소 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됐다고 3일 발표했다.과일과 채소 등에서 붉은색과 보라색을 나타내는 색소성분인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활성이 높아 노화 방지, 면역력 강화, 당뇨,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체 내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에 따른 피부 미백 효능 관련 기작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과학원 측은 설명했다.
공동연구팀은 무궁화 ‘백단심’과 ‘불새’ 품종의 꽃잎 추출물을 멜라닌 합성 호르몬(α-MSH)이 활성화된 조건에서 제브라피쉬 배아에 0∼400㎍/㎖ 농도로 처리한 결과, 멜라닌 합성이 무처리군과 비교해 92% 수준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했다.고농도의 처리구에서도 배아의 심장 박동수가 정상으로 유지돼 꽃잎 추출물의 무독성도 확인했다.
이러한 효과는 무궁화 꽃잎의 붉은색 부분에 포함된 17종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진피세포에서 세포 외 신호조절 인산화효소(ERK)의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했다.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발현을 억제해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연구 결과는 지난해 말 천연물 관련 세계적 학술지 바이오몰레큘스의 645호에 게재됐다.
과학원은 지난 6월 꽃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 원료 제조와 관련된 국내특허 취득 및 국제특허 출원을 마쳤다.
이석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개량연구과장은 “지금까지 무궁화 뿌리나 줄기에서 유용 물질을 찾아낸 사례는 적지 않지만 무궁화꽃을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며 “무궁화 재배 농가의 소득 증대뿐 아니라 국위 선양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국립산림과학원 무궁화연구팀은 지난해 무궁화 뿌리에서 폐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신물질 무궁알렌(Mugungalenes) A,B,C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는 등 무궁화의 산업 소재화 연구에 노력하고 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과학원 무궁화연구팀이 제주대 김기영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무궁화 꽃잎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기미, 잡티, 노인성 반점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 색소 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됐다고 3일 발표했다.과일과 채소 등에서 붉은색과 보라색을 나타내는 색소성분인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활성이 높아 노화 방지, 면역력 강화, 당뇨,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체 내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에 따른 피부 미백 효능 관련 기작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과학원 측은 설명했다.
공동연구팀은 무궁화 ‘백단심’과 ‘불새’ 품종의 꽃잎 추출물을 멜라닌 합성 호르몬(α-MSH)이 활성화된 조건에서 제브라피쉬 배아에 0∼400㎍/㎖ 농도로 처리한 결과, 멜라닌 합성이 무처리군과 비교해 92% 수준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했다.고농도의 처리구에서도 배아의 심장 박동수가 정상으로 유지돼 꽃잎 추출물의 무독성도 확인했다.
이러한 효과는 무궁화 꽃잎의 붉은색 부분에 포함된 17종의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진피세포에서 세포 외 신호조절 인산화효소(ERK)의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했다.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발현을 억제해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연구 결과는 지난해 말 천연물 관련 세계적 학술지 바이오몰레큘스의 645호에 게재됐다.
과학원은 지난 6월 꽃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 원료 제조와 관련된 국내특허 취득 및 국제특허 출원을 마쳤다.
이석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개량연구과장은 “지금까지 무궁화 뿌리나 줄기에서 유용 물질을 찾아낸 사례는 적지 않지만 무궁화꽃을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며 “무궁화 재배 농가의 소득 증대뿐 아니라 국위 선양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국립산림과학원 무궁화연구팀은 지난해 무궁화 뿌리에서 폐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신물질 무궁알렌(Mugungalenes) A,B,C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는 등 무궁화의 산업 소재화 연구에 노력하고 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