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감싸고, 월세 찬양까지…'민심 안테나' 고장난 與
입력
수정
총선 압승 4개월 만에 통합당과 지지율 역전 임박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지지율이 0.8%p차로 좁혀졌다. 민주당이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후 불과 4개월여 만이다. 부동산 대책 논란, 입법 독재 논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시행해 6일 발표한 8월 1주차 주중 잠정집계 결과에 따르면 민주당(35.6%)은 지지율이 2.7%포인트 떨어지고, 통합당(34.8%)은 3.1%포인트 올랐다.특히 일간 변화를 보면 8월5일에는 통합당 36%, 민주당 34.3%로 지지율이 역전되기도 했다.
민주당 핵심 지지층인 여성(3.4%포인트↓), 30대(10.1%포인트↓)·40대(6.2%포인트↓)가 등을 돌린 것이 뼈아팠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80%)·유선(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시행됐다. 18세 이상 유권자 33,057명을 대상으로 전화를 시도한 결과 1,510명이 응답을 완료해 4.6%의 응답률을 보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5%포인트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정치권에선 이와 같은 결과는 민주당이 강성 지지층 눈치만 보며 중도층을 외면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민주당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극단적 선택을 하자 적극 감싸고 나서 논란이 일었다.
과거 정치권에선 자당 소속 정치인의 성범죄 의혹이 불거지면 진위가 명확히 규명되기 이전이라도 사과하거나 최소한 유감 표명을 하는 게 통상적이었다. 진상규명될 때까지 당원권을 정지시키거나 탈당시키기도 했다.그러나 민주당은 '피해 호소인' '피해를 호소하는 고소인' 등의 신조어까지 만들며 박원순 전 시장을 감쌌다. 이 과정에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로 볼 수 있는 발언도 쏟아냈다.
책임 회피라는 비판이 거세지자 민주당은 사건 발생 9일 만에 고소인에 대한 호칭을 '피해자'로 정리했다.
황운하 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30일 지역구인 대전에서 수해가 발생한 장면이 보도 중인 TV 앞에서 크게 웃고 있는 사진이 공개돼 비판을 받았다. 황운하 의원은 오히려 "(지역구에)물난리가 난 상황에서는 모든 모임 활동을 중단하고 표정은 항상 울고 있어야 하느냐"고 반발했다.윤준병 민주당 의원은 민주당이 추진한 '임대차 3법' 영향으로 전셋값 폭등 및 전세 품귀 현상이 나타나자 1일 페이스북을 통해 "전세가 월세로 전환되는 것은 나쁜 현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당시 윤준병 의원은 "전세제도가 소멸되는 것을 아쉬워하는 분들이 있다"며 "이분들의 의식수준이 과거 개발시대에 머물러 있는 것 같다"고도 했다.
이는 현실을 모르는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경우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은 크게 높아진다.
이외에도 민주당은 각종 법안을 야당 동의 없이 강행처리해 '입법독재' 논란에 휘말렸고, 정권비리를 수사하는 윤석열 검찰총장을 찍어내려 한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때문에 민주당의 전신인 열린우리당 당의장(당대표)을 지낸 이부영 전 의원조차 "지난 총선거에서 여당이 180석 이겼다고 2004년 꼴 또 나서는 안 된다고 얘기한 게 어제 같은데 벌써 2004년이 되풀이되는 거 같다"고 비판했다. 당시 열린우리당도 총선에서 압승했지만 각종 논란 끝에 다음 총선에서는 참패했다.
이부영 전 의원은 "여당 안에서 그래 가면 자멸의 구렁텅이에 또 빠진다고 막으려는 사람 한 명도 없나"라고 한탄했다.
정치평론가인 장성철 공감과 논쟁 정책센터 소장은 "민주당이 '민심을 읽는 안테나'가 고장난 것은 아닌지 점검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장성철 소장은 "안희정, 오거돈 뿐 아니라 조국, 윤미향 등 여권 인사 관련 의혹이 연이어 불거졌지만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은 꾸준히 50% 이상을 유지해왔다.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해도 '국민은 우리를 지지할 것'이라는 오만한 생각이 있지 않았나 생각된다"고 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