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이 약해지고 있지만, 실업률에 큰 변동이 없는 것은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일자리를 잃은 이들이 다른 일자리를 찾기보다는 아예 비경제활동인구로 돌아서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아울러 정부의 '고용 유지 계획' 역시 대규모 실업을 막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영국 정부는 기업이 직원을 해고하는 대신 고용을 유지하면서 휴직이나 휴가를 보낼 경우 정부가 월 임금의 80%까지, 최대 2천500 파운드(약 390만원)를 부담하기로 했다.
당초 5월 말까지 적용하기로 했다가 두 차례 연장해 오는 10월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시장 여파가 10월 이후 본격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영란은행은 영국의 연말 기준 실업률이 7.5%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청은 7월 기준 국세청(HM&C)에 제출된 급여대상자 수는 지난 3월과 비교하면 73만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4∼6월 보너스를 제외한 평균 주간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고, 보너스를 포함한 주간임금은 1.2% 감소했다.
보너스를 제외한 주간임금이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1년 이후 처음이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임금 증가율은 보너스 제외 시 -1.0%, 포함 시 -2.0%로 각각 집계됐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은 이날 통계청 발표 직후 "그동안 계속해서 모든 일자리를 보호할 수는 없다는 점을 말해왔다"면서 "다만 일자리 계획을 통해 우리는 누구도 희망 없이 남겨지지 않도록 일자리를 보호하고 지원하고 창출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해 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