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가 뭐길래…롯데케미칼 사내 공모에 아이디어 3000건

디지털 전환 위해 임직원들 다양한 의견 쏟아내
롯데케미칼 직원들이 RPA시스템을 적용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롯데케미칼 직원들이 RPA시스템을 적용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최근 직원들을 상대로 디지털 전환(DT:Digital Transformation) 관련 아이디어를 공모했다. 기존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했던 업무를 어떻게 디지털로 바꿀 지 의견을 물었다.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7일까지 모인 아이디어만 3212건에 달했다.

분야를 막론하고 직원들은 의견을 쏟아냈다. ‘원료 구매 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 가격 예측하면 원가를 크게 줄일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띄워 정비구역 확인하면 안전사고 발생이 크게 감소할 것이다’,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를 장착하면 좋겠다’, ‘반복적인 회계 처리를 자동으로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입하자’ 등 평소 일을 하면서 불편했거나 건의하고 싶었던 것이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다소 엉뚱하거나 디지털과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것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업무에 적용해 볼 만한 것들이었다”고 전했다.

롯데케미칼은 2018년부터 디지털 전환 작업에 본격 나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전사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독려했다. 처음에는 주로 팀장급 이상 의사 결정권한을 가진 임원들이 디지털 전환을 주도했다. 이 탓에 일반 직원들은 디지털 전환 작업에 다소 소외돼 있었다. 회사 측은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일반 직원들 의견을 적극 현장에 반영하기로 했다.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는 “코로나 탓에 수요 부진 등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내부 경쟁력을 강화해야 하고, 그 핵심이 디지털 전환”이라고 강조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