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오징어 왜 서·남해로 갔나?…수온 상승으로 먹이사슬 변화

이충일 강릉원주대 교수·이상헌 부산대 교수 연구팀 원인 규명
"수온 높아지면 표층―저층 해수 밀도변화로 오징어 먹이 크기 변화"
동해 지방의 대표 특산물이던 오징어가 최근 몇 년 사이 서해와 남해로 서식지를 대거 옮긴 것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먹이사슬 변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 '장기해양생태계 연구'에 참여한 이충일 강릉원주대 교수와 이상헌 부산대 교수 연구팀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닷속 플랑크톤 종(種)의 변화를 밝혀냈다.

연구팀이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관측된 동해의 온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의 연평균 표층 수온이 20여 년 전인 1980년대보다 약 0.65℃ 상승했다.

바다 표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해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밀도가 높은 저층 해수와 잘 섞이지 않는 '혼합 약화' 현상이 나타난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름이 밀도가 높은 물 위에 떠 있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이런 혼합 약화 현상은 식물플랑크톤에 대해 대형 종보다 소형 종이 더 많이 번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연구팀은 "이는 바다 저층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필요한 중요 영양염 공급이 감소했기 때문인데, 이런 환경 조건에서는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큰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의 크기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결국 오징어가 양질의 동물플랑크톤을 찾아 여름에는 서해로, 겨울에는 남해로 이동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오징어 서식지 적합지수 산출 결과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였다"면서 "여름철에 서해의 적합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겨울철에는 남해의 적합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하구·연안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하구와 연안'(Estuaries and Coasts) 5월호에 게재했다. 송명달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그간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수온 상승 등 해양의 물리적 환경변화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지만, 이번 연구는 해양생태계와 수산자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해역을 확대해 해양생태계와 수산자원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해양생태계 모델 개발과 적용을 통해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적응전략을 수립·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