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회장 시절 이동통신 사업 대승적 양보
입력
수정
지면A14
SK텔레콤에 대한 오해와 진실고(故) 최종현 SK 회장은 생전에 이동통신 ‘특혜시비’에 시달렸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 사돈이라는 특수관계가 이동통신 사업권을 따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의 딸 노소영 씨가 최태원 회장과 결혼하면서 ‘혼수’로 이동통신 사업을 가져왔다는 말까지 돌았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노태우 前대통령과 사돈 관계
오해 피하려 2번이나 입찰 포기
한국이동통신 인수로 성장
노태우 정부 말기인 1992년 8월 제2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절차가 진행된 것은 맞다. 당시 선경(현 SK)을 비롯해 포철, 코오롱, 쌍용 등 6개 기업이 경쟁을 펼쳤다. 선경은 최고점을 받고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것이 특혜시비의 발단이 됐다. 최 회장은 논란이 불거지자 결국 사업권을 반납했다.제2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절차는 1994년 초 다시 시작됐다. 김영삼 정부 초반일 때다. 정부는 특혜시비 차단을 위해 전경련에 선정 절차를 위임했다. 당시 전경련을 이끌고 있던 최 회장은 SK가 입찰에 뛰어들면 또다시 특혜시비가 일 것으로 판단, 고심 끝에 사업권을 포기했다. 전경련 회장단은 곧바로 환영 의사를 나타냈다. 그는 이후 “재계 화목이 깨질 것이 걱정돼 물러섰다”고 털어놨다.
최종현 회장이 그렇다고 이동통신 사업을 아예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이후 ‘대안’을 찾았다. 한국전기통신공사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 매각 입찰에 뛰어들었다. 최고액을 써내 지분 23%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대신 막대한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한국이동통신 주가가 치솟은 영향이다. 민영화 방침이 나왔을 때만 해도 한 주에 8만원 하던 주가가 순식간에 네 배가량 급등했다. SK는 인수액으로 주당 33만5000원, 총 4271억원을 써내야 했다.
SK는 ‘특혜 인수’가 아니라 ‘고가 인수’ 논란에 휩싸이게 된다. 그룹 내부에서도 ‘승자의 저주’를 우려하며 많은 임원이 반대했다. 하지만 최 회장은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회인데, 기회는 돈으로만 따질 수 없다”며 인수를 강행했다. 그는 “이렇게 해야 특혜시비 없이 이동통신 사업을 할 수 있다”며 “회사 가치는 더 키워가면 된다”고 했다. SK그룹의 주력 계열사가 된 SK텔레콤은 이렇게 탄생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