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은행' 인사담당자가 전하는 하반기 입사 전략
입력
수정
지면A26
취업에 강한 신문 한경 JOB
"은행 취업, 문과생도 디지털 역량은 필수"
3대 키워드 '비대면·디지털·전문화'
국민, 온라인 필기시험 검토
신한, 문과도 이공계 역량 평가
우리, 직무별 필기시험 다르게
하나, SW 평가시험 '톱싯' 실시
농협, 온·오프라인 채용 병행

한국경제신문은 오는 31일 현직 은행 인사담당자 5명에게 하반기 채용의 특징과 대비책을 듣는 ‘은행 빅5 잡콘서트’를 마련했다. 이날 잡콘서트에는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은행의 인사담당자들이 출연해 ‘코로나 시대의 은행 입사 전략’을 풀어 놓는다.잡콘서트에 앞서 은행 채용팀장들에게 올 하반기 채용의 특징과 시험 대비 요령 등을 들어봤다.
비대면 채용이 ‘대세’

디지털 역량은 필수
채용팀장들은 은행들이 요즘 원하는 인재의 요건은 ‘디지털 역량’이라고 입을 모은다. 국민은행은 일반직 지원자에 대해서도 ‘디지털 역량’을 검증키로 했다. 하나은행은 소프트웨어(SW) 역량지수를 평가하는 ‘톱싯(TOPCIT)’ 시험을 본다. 최지웅 신한은행 인사부 채용팀장은 “문과 출신이지만 이공계적 생각을 할 수 있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뽑을 수 있는 전형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하나은행은 하반기에 글로벌, 디지털, 자금신탁, 기업금융, 투자은행(IB) 등의 분야로 세분화해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직무마다 필기시험 문제, 면접 방식을 다르게 적용한다. 조현욱 우리은행 인사부 채용팀장은 “IT 디지털 분야 선발 시 코딩 테스트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문직군에선 구체적인 금융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한다”고 말했다.
채용 규모는 줄어들 듯
수시 채용에 코로나19까지 겹쳐 은행들의 채용 규모는 더욱 쪼그라들 전망이다. 기업은행을 포함해 주요 은행 여섯 곳이 밝힌 지난해 신입·경력 채용 규모는 3013명이었다. 올 상반기에는 지난해의 32%인 970명을 뽑는 데 그쳤다. 채용 규모 감소는 영업점 축소와도 무관하지 않다. 상반기에 국민은행은 53개, 하나은행은 51개 영업점을 폐쇄했다. 그만큼 영업점 근무인력을 재배치해 신입직원 채용 여력은 줄어들었다.은행들은 아직까지 하반기 채용 규모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성백준 하나은행 인사부 기획채용팀장은 “은행들은 갈수록 디지털 역량을 갖춘 전문직 인재를 선호하고 있다”며 “금융권 입사 준비생이라면 저학년 때부터 금융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경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