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특구 40년 맞은 中선전시…"개혁 1번지서 기술허브로"

작은 어촌에서 인구 1천300만명의 첨단기술 허브로 도약
시진핑, 다음 달 선전시 방문해 특구지정 40년 행사 참석할 듯

중국 '개혁·개방 1번지'이자 '첨단기술의 허브'인 광둥(廣東)성 선전(深천<土+川>)시가 경제특구 지정 40년을 맞아 또 한차례 비상을 꿈꾸고 있다. 선전시는 26일로 경제특구 지정 40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꼭 40년 전인 1980년 8월 26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광둥성 경제특구 조례' 비준을 통해 광둥성 내 선전과 주하이(珠海), 산터우 등 세 곳을 경제특구로 처음 지정했다.
'중국 개혁ㆍ개방의 총설계사'로 불리는 덩샤오핑(鄧小平·1904∼1997)의 작품이었다. 개혁·개방 이전까지만 해도 작은 어촌에 불과했던 선전시는 특구지정 40여간 동안 중국의 개혁·개방을 이끌면서 인구 1천300여만명의 첨단기술 허브로 도약했다.

선전시는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華爲)와 중국 최대 IT(정보통신) 기업인 텐센트(騰迅·텅쉰)를 비롯해 대형 통신장비업체인 ZTE(중싱),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인 DJI(다장),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 등이 위치한 중국 '첨단기술과 혁신의 허브'다.

선전시의 경제규모는 광둥성 성도인 광저우(廣州)는 물론 홍콩보다 크다. 작년 말 기준 선전시의 국내총생산(GDP)은 3천900억달러(약 465조원)로, 광저우와 주하이의 GDP를 합친 것과 비슷하다.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상반기 선전시의 경제성장률은 0.1%에 그쳤다.

하지만 같은 기간 중국의 수도 베이징(北京)과 '경제수도' 상하이(上海), 광저우 등이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에 비하면 선방한 셈이다. 선전시는 코로나19 사태와 미·중 무역·기술전쟁 등 여건이 좋지 않지만 향후 5년 내에 '현대적이고, 국제적인 혁신 도시'로 도약하고, 2050년에는 세계 제1의 혁신 도시가 되겠다는 목표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27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왕웨이중(王偉中) 선전시 당서기는 중국 관영 인민일보에 기고한 글을 통해 "선전시는 계속해서 개혁ㆍ개방의 표준적인 전달자가 되고, 경제특구의 정신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지도부도 선전시를 중국을 대표하는 혁신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해 2월 '웨강아오 대만구'(大灣區·Great Bay Area)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웨강아오 대만구는 선전시를 비롯한 광둥성(廣東省) 9개 주요 도시와 홍콩, 마카오를 통틀어 지칭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웨강아오 대만구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프로젝트를 역점을 두어 추진하고 있다.

웨강아오 대만구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7천만명에 달하며, 이곳의 국내총생산은 15조 달러에 달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통계를 적용하면 이런 웨강아오 대만구의 경제 규모는 스페인을 능가한다.

중국 중앙정부는 지난해 8월에는 선전시를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선행 시범구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25년까지 선전시를 세계 정상급의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시 주석은 다음 달 선전을 방문해 경제특구 지정 4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선전시가 경제특구 지정 40년 동안 '개혁ㆍ개방 1번지'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첨단 기술 허브'로 도약했지만, 도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넘어야 할 장벽이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무엇보다 주택, 교육, 보건 등 공공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선전을 근거지로 하는 싱크탱크인 중국발전연구소의 궈완다(郭萬達) 부소장은 "선전은 우한보다 보건 자원이 열악하다"면서 "만일 코로나19가 선전에서 발생했다면 어떻게 됐을까"라고 반문했다. 그는 또 "선전에는 고교와 대학을 세울 공간이 부족하다"면서 "과학과 기술연구의 국가적 중심지로서 선전은 충분한 대학과 인적 자원, 주택,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