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뉴질랜드 미국대사, '코로나 격리시설 입소 거부' 구설수

뉴질랜드 주재 미국대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뉴질랜드의 입국자 의무 격리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구설에 올랐다.

뉴질랜드 언론 매체들은 28일 업무 협의차 최근 미국을 다녀온 스콧 브라운 대사가 뉴질랜드 정부가 관리하는 코로나19 격리시설에 들어가지 않고 웰링턴 대사관저에서 14일간의 자가 격리에 들어갔다며 이는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한 매체는 외교관 면책특권 때문에 뉴질랜드 정부가 외교관을 정부 관리 격리시설에 강제적으로 입소시킬 수는 없지만, 브라운 대사가 특별대우를 고집해 미국대사관에서 일하는 현지 직원들도 당황해하고 뉴질랜드 외교부도 눈살을 찌푸린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매체는 특히 외국에서 들어오는 대부분의 외교관은 군인들이 감시하는 격리시설에 2주 동안 입소하는 엄격한 규제를 잘 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부 대변인은 다른 나라 외교관들은 정부 관리 격리시설에 들어가거나 자가 격리를 선택할 수 있다며 "격리시설에 강제적으로 그들을 들어가게 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 자발적으로 그렇게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인과 함께 본국에 가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 대표 등을 만나고 돌아온 브라운 대사는 자신의 자가격리가 논란이 되자 모든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며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평소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친분을 과시해온 것으로 알려진 브라운 대사는 한 방송에서 자신이 마치 검역을 안 받은 것처럼 보도하는 건 날조라고 맞받아쳤다.

그는 자신들은 미국에서 돌아온 뒤 뉴질랜드 정부에 철저하게 협조하고 있다며 "우리들은 뉴질랜드 규정에 따라 완벽하게 격리돼 누구에게도 위험을 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대사관저 격리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대사로서 다른 나라 정부의 돈을 받지 못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우리 경비로 모든 걸 해야 한다.

우리 팀 다른 구성원들도 다 그렇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