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김해영의 마지막 쓴소리 "조국 사태 당시 당이 역할 못해" [전문]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최고위원 (사진=연합뉴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28일 임기를 마치면서도 당을 향해 고언을 전했다.

김 최고위원은 28일 예정됐던 마지막 최고위원회의가 코로나19로 인해 열리지 않자 페이스북을 통해 “집권당의 지도부로서 지난 2년간 느낀 아쉬움을 전한다"고 말했다.김 최고위원은 "조국 전 장관과 관련한 사안에서 국민들 사이의 갈등과 분열이 크게 일어났고 지금도 당시의 국민적 갈등이 잠재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당시 당에서 국민적 갈등을 조정하고 수습하는데 있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부분이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잘못한 것은 잘못했다고 국민들께 진솔하게 말씀드려야 하는데 지도부에서 그러한 점이 부족했던 것 같다"면서 "사람이든 정당이든 완벽할 수 없고, 누구나 실수 할 수 있고, 잘못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솔직하게 잘못했다고 인정하면 국민들께서도 웬만한 것은 이해해 주실 것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한 잘못 인정에도 불구하고 국민들께서 이해해 주시지 못할 정도라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면되는 것이다"라며 "실수나 잘못보다도 이에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김 최고위원은 국가균형발전과 청년 문제, 검찰 개혁 등을 놓고 여당 지도부로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데 대해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당의 주류의견과 다르더라도 소수의견을 과감하게 말하는 것이 다양성을 확장하는 길이고, 그것이 국민 전체와 당에도 도움이 되는 길이라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김해영 최고위원의 입장글 전문.


안녕하세요 김해영입니다.
오늘은 지난 2년간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으로서의 역할을 마무리하는 날입니다. 코로나19로 마지막 최고위원회의를 열 수 없어 부득이 이렇게 인사를 대신합니다.그동안 당의 최고위원으로서 현안에 대해 국민들께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말씀드리려고 노력했습니다.
당의 주류의견과 다르더라도 소수의견을 과감하게 말하는 것이 당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길이고, 그것이 국민 전체와 당에도 도움이 되는 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마지막 최고위 발언으로 지난 2년간 집권당의 지도부로서 아쉬움이 남는 점을 중심으로 말씀드릴까 합니다.

먼저 지난 조국 전 장관과 관련한 사안에서 국민들 사이의 갈등과 분열이 크게 일어났고 지금도 당시의 국민적 갈등이 잠재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시 당에서 국민적 갈등을 조정하고 수습하는데 있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부분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국가균형발전과 관련한 부분입니다.
저출생 문제, 부동산 문제 등 국가적 문제의 많은 부분들이 국가균형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도부 임기 내 국가균형발전과 관련하여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 안타깝게 생각합니다.청년문제입니다.
청년기본법의 통과와 청년들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청년 정치인의 국회 진출 확대 등에서 제 나름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청년 문제의 가장 핵심은 우리 사회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결국 격차를 줄여나가는 것이 청년문제 해결의 핵심인데 지도부 임기 내 결과적으로 우리 사회의 격차를 줄이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 책임을 느낍니다.

검찰개혁입니다.
검찰개혁은 누구에게나 공정한 검찰권 행사를 위해 당연히 추진해야할 과제입니다. 다만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여러 민생현안을 시급히 챙겨야 하는 상황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적절히 정해야 할 것입니다.

잘못을 대처하는 방식입니다.
잘못한 것은 잘못했다고 국민들께 진솔하게 말씀드려야 하는데 지도부에서 그러한 점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사람이든 정당이든 완벽할 수 없고, 누구나 실수 할 수 있고, 잘못할 수 있습니다. 솔직하게 잘못했다고 인정하면 국민들께서도 웬만한 것은 이해해 주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한 잘못 인정에도 불구하고 국민들께서 이해해 주시지 못할 정도라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면되는 것입니다. 실수나 잘못보다도 이에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 아쉬움이 남습니다.

끝으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진정되고 나면 국회가 헌법 개정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헌법 개정이 주로 권력구조 개편논의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더 많은 헌법 규정들에 대해서 이제는 우리 사회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다시한번 의사를 물어보고 컨센서스를 만들어 나갈 때가 되었습니다.
지금의 청년들은 현행 헌법인 1987년 헌법 개정 당시 어떠한 의사도 개진할 수 없었고, 또한 당시 헌법 개정에 참여했던 국민들의 의식도 이미 30년이 지나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한 예로 급여를 모아서는 집을 장만하기 어려운 지금의 청년들은 헌법에서 보다 분명한 의지를 가지고 주거권을 보장해 주길 원할 것입니다.

지난 2년간 일본의 부당한 경제적 공격을 슬기롭게 대처해 내고,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방역과 경제 회복에 최선을 다하신 이해찬 대표님을 비롯한 박주민, 박광온, 설훈, 남인순, 이형석, 이수진 최고위원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 역시 최고위원으로서 지난 2년간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또 당원의 한 사람으로서 차기지도부를 도와 대한민국이 코로나19 국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습니다. 또 그동안 쌓은 경험이 우리 사회 공동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늘 노력하겠습니다. 최고위원회 활동에 많은 응원과 지지, 때로는 질책을 보내주신 국민여러분들과 당원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국민들을 대신하여 최고위원회에 많은 관심과 취재를 보여주신 언론인 여러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