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의사들, 파업 끝내 철회하지 않은 까닭은
입력
수정
정부, 국회, 의료계 원로 선배들의 설득에도 젊은 의사들은 마음을 바꾸지 않았다. 파업을 끝내면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는 내부 목소리가 힘을 얻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전공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하자 이들을 가르치는 의대 교수까지 집단휴진 참여 의사를 밝히는 등 의정갈등이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29일에는 김연수 국립대병원협의회장(서울대병원장) 등 의료계 원로들이 박 위원장 등 전공의들을 만나 의사협회와 정부가 참여하는 의정협의체를 통해 의대정원 조정, 공공의대 설치를 원점에서 논의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약속했다.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대학병원들도 집단 휴진에 동참키로 했다.
젊은 의사들은 협상안을 거부했다. 대의원 총회 결과 과반에 미치지 못해 부결된 1차 투표의 파업 유지 찬성률은 50%, 중단은 25%로 파업 찬성이 우세했다. 다시 진행한 2차 투표 결과 파업 유지는 72%, 중단은 21%였다.
그는 "파업을 한 뒤에도 전공의들이 조를 짜서 응급실, 중환자실, 코로나19 치료 병동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며 "일부는 자발적으로 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나가 검사를 돕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 대한 배려 없이 고발한 것이 이들을 자극했다"고도 했다.
보건복지부는 26일 수도권 전공의와 전임의를 대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지 이틀 만인 28일 전공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했다. 이들 중에는 중증 코로나19 환자 진료과정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돼 자가격리 대상이던 한양대병원 내과 전공의, 당직 교수를 돕기 위해 25일 새벽 4시30분까지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응급수술에 참여한 뒤 쉬고 있던 중앙대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등도 포함됐다.복지부가 고발한 상계백병원 외과 전임의는 25~27일 병동에서 근무를 했고 한림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도 당직을 선 뒤 쉬던 중이었다고 전공의들은 주장했다. 다른 대학병원 소아과 전공의 등도 당초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응급실 중환자실과는 관련이 없는 곳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여러차례 제시한 합의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복지부는 "1차 투표에서 파업 지속 추진이 부결된 결과를 뒤집기까지 해 휴진을 강행하겠다는 전공의 단체 결정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국민 생명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정당치 않은 결정"이라고 했다.또 "집단휴진이 아닌 정부와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선택을 해달라"며 "코로나19로 엄중한 상황에 의사로서의 소명을 다할 수 있도록 진료현장으로 즉시 복귀해달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90년생 박지현'으로 뭉치는 젊은 의사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긴급 대의원회를 소집해 파업중단 논의를 시작한 것은 29일 밤 10시다. 14시간에 이르는 마라톤 회의 끝에 이들은 30일 낮 12시께 박지현 비대위원장에게 7일 간 전권을 맡기고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1990년생인 박 위원장은 삼성서울병원 외과 레지던트 4년차다. 젊은 의사들은 그에게 '빛지현'이라는 애칭까지 붙이면서 파업 동력을 키우고 있다. 국회와 의료계가 잇따라 중재에 나섰지만 소득이 없었다. 한정애 국회 보건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28일 박 위원장과 전공의들을 만나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관련 법안 추진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안정될 때까지 중단하기로 약속했다. 의사협회, 전공의협회 등 의료전문가 집단이 포함된 국회 협의기구를 세워 모든 가능성을 열고 이들 안건을 논의하겠다고도 했다.29일에는 김연수 국립대병원협의회장(서울대병원장) 등 의료계 원로들이 박 위원장 등 전공의들을 만나 의사협회와 정부가 참여하는 의정협의체를 통해 의대정원 조정, 공공의대 설치를 원점에서 논의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약속했다.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대학병원들도 집단 휴진에 동참키로 했다.
젊은 의사들은 협상안을 거부했다. 대의원 총회 결과 과반에 미치지 못해 부결된 1차 투표의 파업 유지 찬성률은 50%, 중단은 25%로 파업 찬성이 우세했다. 다시 진행한 2차 투표 결과 파업 유지는 72%, 중단은 21%였다.
코로나 자가격리 대상도 고발
의료계 내부에서는 정부와의 신뢰가 깨졌다고 평가했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전공의와 정부 간 앞선 협상에서 논의 내용을 문서로 만들어달라는 전공의들의 요구가 지켜지지 않았다"며 "2000년 의약분업 협상 때도 정부와의 협의 내용을 문서로 남기지 않아 번복된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구두 합의 내용을 믿지 못한 것"이라고 했다.그는 "파업을 한 뒤에도 전공의들이 조를 짜서 응급실, 중환자실, 코로나19 치료 병동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며 "일부는 자발적으로 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나가 검사를 돕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 대한 배려 없이 고발한 것이 이들을 자극했다"고도 했다.
보건복지부는 26일 수도권 전공의와 전임의를 대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지 이틀 만인 28일 전공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했다. 이들 중에는 중증 코로나19 환자 진료과정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돼 자가격리 대상이던 한양대병원 내과 전공의, 당직 교수를 돕기 위해 25일 새벽 4시30분까지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응급수술에 참여한 뒤 쉬고 있던 중앙대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등도 포함됐다.복지부가 고발한 상계백병원 외과 전임의는 25~27일 병동에서 근무를 했고 한림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도 당직을 선 뒤 쉬던 중이었다고 전공의들은 주장했다. 다른 대학병원 소아과 전공의 등도 당초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응급실 중환자실과는 관련이 없는 곳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 "의사소명 다해야"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대 교수까지 동요하고 있다. 가천대, 가톨릭대, 순천향대 등 의대 교수들이 잇따라 의대 학장 명의 성명을 내고 '파업 지지' 선언을 했다. 한양대 의대는 "정부의 부당한 조치가 가해지면 집단행동에 나서겠다"고 했다.정부는 여러차례 제시한 합의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복지부는 "1차 투표에서 파업 지속 추진이 부결된 결과를 뒤집기까지 해 휴진을 강행하겠다는 전공의 단체 결정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국민 생명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정당치 않은 결정"이라고 했다.또 "집단휴진이 아닌 정부와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선택을 해달라"며 "코로나19로 엄중한 상황에 의사로서의 소명을 다할 수 있도록 진료현장으로 즉시 복귀해달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