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감염 재확산에도…마스크·거리두기 반대시위 확산, 왜?

(1) 착용강요, 자유 억압으로 인식
(2) 팬데믹 장기화에 피로감 표출
(3) 경기침체로 생활고까지 겹쳐
지난 29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노 마스크’ 시위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다. 프랑스에선 30일(현지시간) 5413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6일 연속 하루 50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쏟아졌다. 지난달 말 1000명대에 비하면 완연한 2차 대유행이다. 독일도 지난 6~7월 하루 1000명대 아래로 떨어졌다가 8월에는 다시 1500명 안팎으로 뛰었다. 이탈리아는 지난달 말 200~300명대로 떨어졌다가 지난 26일부터 1300명 이상의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 재유행이 거세지만 유럽 곳곳에서는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29일엔 독일 베를린에서 정부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경찰 추산 3만8000여 명이 운집했다.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미국 캐나다 등에서도 비슷한 시위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대만 태국 등 아시아권에선 마스크 반대 시위가 일어나지 않는 것과 대조적이다.

전문가들은 △마스크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 차이 △사태 장기화에 따른 정신적 피로감 △경기침체로 인한 생활고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황인솬 맨체스터대 사회학 교수는 ‘마스크’라는 제품과 용어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 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영어 단어 마스크(mask)의 사전적 의미는 본래 ‘복면’ 또는 ‘가면’이다. 한국 등 아시아권에선 얼굴을 감추는 ‘복면’과 의료장비인 ‘마스크’를 구분해 쓴다. 반면 서양에선 마스크를 문자 그대로 복면으로 받아들인다. 의료장비는 ‘페이스 커버(face cover)’라는 별도 표현을 쓰는 게 일반적이다. 서구 국가들에는 집회·시위 참가자가 복면을 쓰면 그 사유만으로 처벌하는 ‘안티 마스크법’이 보편화돼 있다. 황 교수는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쓰는 게 불법인 나라에서 의무적으로 복면을 쓰라는 명령이 떨어지면 ‘내가 범죄자냐’는 반발이 나오는 게 오히려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

이런 문화적 차이는 실제 마스크 착용률에서 확인된다. 영국 여론조사업체 유고브가 매월 주요국에서 집계하는 마스크 착용률을 보면 지난 8일 기준 싱가포르 태국 일본 홍콩 등 아시아 국가의 착용률은 90%에 육박하는 데 비해 독일 65%, 미국과 영국은 75% 등으로 집계됐다. 국가 차원에서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지 않은 노르웨이·덴마크·스웨덴·핀란드 등 북유럽 4개국은 마스크 착용률이 10%도 안 된다.마스크 반대론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주장은 “자유를 억압하지 말라”는 것이다. 마크 리어리 듀크대 심리학 교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뭔가를 하거나 하지 말라는 명령에 반감을 느낀다”며 “마스크를 쓰는 사람에게 ‘쓰지 말라’고 해도 거부 반응이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반감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거쳐 분노로 표출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답답해서 마스크를 잠깐 풀어놓았을 뿐인데 ‘이기적이고 비이성적이며 배려가 없는 사람’ 취급을 받아 화가 난 사람이 극우파, 음모론자 등의 선동에 휩쓸리기 쉽다는 지적이다.

방역조치 장기화에 따른 정신적인 피폐함에 생활고까지 겹치자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나온다는 분석도 있다. 독일 ‘노 마스크’ 시위에 참여한 한 50대 여성은 “처음에는 정부 지침에 따라 외출도 자제했다. 하지만 서너 달이 지나고 보니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너무 힘들어졌다. 어차피 죽을 사람은 죽는 것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현우/ 선한결 기자 hkang@hankyung.com